성균관대 정시 요강과 입결

주요 변경 내용

전년도와 달라진 점

2023학년도

2022학년도

수능 영역별 반영 비율(%)

• 인문: 국어(35) + 수학(35) + 탐구(30)

• 자연: 국어(30) + 수학(35) + 탐구(35)

• 인문: 국어(40) + 수학(40) + 탐구(20)

• 자연: 국어(25) + 수학(40) + 탐구(35)

기타

• 모집군 변경: 소프트웨어학 가군 선발 → 나군 선발

• 과학탐구‌ 동일 과목‌Ⅰ+Ⅱ 선택은 인정하지‌ 않음 → 과학탐구‌ 동일 과목‌Ⅰ+Ⅱ 선택 ‌인정함

 

 

구분

일정

비고

가군

나군

원서 접수

2022. 12. 29.(목) ~ 2023. 1. 2.(월) 17:00

 

서류 제출

2022. 12. 29.(목) ~ 2023. 1. 3.(화) 17:00

2023. 1. 3 .(화) 소인까지 유효

※ 우편 접수만 가능(방문 접수 불가)

면접

(의예) 2023. 1. 7.(토)

 

 

최초 합격자 발표

2023. 2. 6.(월)

 

최초 합격자 등록

2023. 2. 7. (화) ~ 9.(목)

 

충원 합격자 발표 및 등록

2023. 2. 10. (금) ~ 16.(목) 18:00

 

최종 충원 합격자 등록

2023. 2. 17.(금)

 

 

 

가군

모집단위

계열

2023

2022

2021

2020

모집

인원

최초

인원

이월

인원

최종

인원

최초

인원

이월

인원

최종

인원

최초

인원

이월

인원

최종

인원

인문과학계열★

인문

192

179

3

182

119

10

129

119

5

124

경영학

인문

100

90

2

92

75

1

76

75

0

75

글로벌경제학

인문

35

35

1

36

30

9

39

30

0

30

교육학

인문

15

15

0

15

15

5

20

15

0

15

한문교육

인문

15

16

0

16

15

0

15

15

0

15

영상학

인문

15

15

2

17

15

1

16

15

0

15

의상학

인문

16

16

0

16

16

1

17

16

0

16

전자전기공학부

자연

91

85

2

87

75

5

80

75

0

75

반도체시스템공학

자연

30

30

6

36

18

1

19

18

14

32

글로벌바이오메디컬공학

자연

20

20

0

20

10

2

12

10

3

13

약학

자연

30

30

0

30

 

 

 

 

 

 

의예

자연

15

15

9

24

15

4

19

15

5

20

수학교육

자연

15

15

0

15

15

0

15

15

0

15

컴퓨터교육

자연

15

15

0

15

15

0

15

15

1

16

건설환경공학부

자연

20

20

1

21

20

2

22

30

0

30

 

나군

 

모집단위

계열

2023

2022

2021

2020

모집

인원

최초

인원

이월

인원

최종

인원

최초

인원

이월

인원

최종

인원

최초

인원

이월

인원

최종

인원

사회과학계열★

인문

210

204

6

210

138

13

151

138

3

141

글로벌리더학

인문

28

30

1

31

30

2

32

30

1

31

글로벌경영학

인문

43

50

5

55

45

2

47

45

2

47

자연과학계열★

자연

144

144

4

148

104

9

113

104

2

106

공학계열★

자연

284

279

5

284

226

18

244

216

10

226

소프트웨어학

자연

45

48

0

48

40

4

44

45

15

60

※ ★는 광역모집단위로 해당 모집단위 입학생은 교양기초 교육을 이수한 후, 2학년 진급 시 모집단위에 설치된 학부/학과를 대상으로 본인의 희망과 1학년 학업성적에 따라 각 입학계열에 설치된 학부/학과에 진학함(설치 학부/학과는 학생 정원 조정 결과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 각 광역모집단위 세부 학부/학과는 아래와 같음

– 인문과학계열: 유학·동양학, 국어국문학, 영어영문학, 프랑스어문학, 중어중문학, 독어독문학, 러시아어문학, 한문학, 사학, 철학, 문헌정보학

– 사회과학계열: 행정학, 정치외교학,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 사회학, 사회복지학, 심리학, 소비자학, 아동·청소년학, 경제학, 통계학

– 자연과학계열: 생명과학, 수학, 물리학, 화학, 식품생명공학, 바이오메카트로닉스학, 융합생명공학

– 공학계열: 화학공학/고분자공학, 신소재공학, 기계공학, 건설환경공학(전공예약), 시스템경영공학, 나노공학

※ 전공예약(건설환경공학부)제로 입학한 경우, 2학년 진급 시 별도 선택 없이 해당 학부/학과로 진입함

 

 

모집군

모집단위

선발방법

전형 요소별 반영 비율(%)

전형총점

수능

학생부

기타

교과

비교과

가, 나

인문, 자연

일괄합산

100

 

 

의예과 면접 P/F

1,110점

 

 

반영영역 및 비율

모집군

전형

유형

모집계열

(단위)

활용

지표

대학수학능력시험 반영비율(%)

영어

반영
방법

국어

수학

영어

탐구

한국사

화법과

작문

언어와

매체

확률과 통계

미적분/기하

사회

과학

과목수

가, 나

수능

위주

인문

표준점수

+

변환표준점수

35

35

등급별

환산

점수

30

2

가산점

등급별

환산

점수

자연

30

 

35

 

35

2

※ 실기가 반영되는 전형은 「정시전형 진학지도 길잡이(총론)」 참고

※ 표준점수 반영: 국, 수 / 변환표준점수 반영: 탐구

영어 반영 방법(등급별 환산점수)

등급

1

2

3

4

5

6

7

8

9

환산점수

100

97

92

86

75

64

58

53

50

 

한국사 반영 방법(가산점)

등급

1

2

3

4

5

6

7

8

9

가산점

10

9

8

7

6

5

 

 

 

 

 

※ 합격자 성적: 최종등록자 기준 성적의 70%컷

모집단위

2022

2021

모집

인원

경쟁률

충원 인원

합격자 성적

모집

인원

경쟁률

충원 인원

합격자 성적 평균

국어

수학

탐구

국수탐

백분위

대학별

환산점

국수탐

백분위

대학별

환산점

인문과학계열

182

3.9

58

93

88

88

91.17

755.89

129

3.00

56

93.33

762.50

경영학

92

4.3

50

95

90

85

91.5

762.39

76

2.90

57

94.00

766.40

글로벌경제학

36

5.8

11

94

95

89

93.33

767.55

39

5.70

87

94.83

767.40

교육학

15

4.3

8

97

94

89.5

92.17

758.9

20

3.50

10

93.50

763.50

한문교육

16

3.8

5

98

87

93

91.33

752.56

15

3.90

1

91.83

759.90

영상학

17

4.4

7

94

92

90.5

92.17

758.17

16

3.30

7

94.17

762.70

의상학

16

4.4

4

96

91

89.5

91.83

754.66

17

3.40

4

91.67

760.20

전자전기공학부

87

3.4

15

91

96

88

92.33

770.4

80

3.20

11

93.17

751.80

소프트웨어학

48

3.8

1

94

99

91

94.5

774.43

44

7.60

8

93.17

752.30

반도체시스템공학

36

3.4

5

95

99

94.5

95.83

785.6

19

3.70

10

94.33

760.60

글로벌바이오메디컬공학

20

4.9

5

92

98

91.5

94.17

772.86

12

5.00

6

93.33

753.40

약학

30

6

19

98

100

95

96.83

793.85

 

 

 

 

 

의예

24

5.4

2

100

100

97.5

99.0

816.73

19

4.50

3

99.17

789.10

수학교육

15

4.9

10

89

98

91.5

91.67

763.81

15

3.20

12

92.33

746.50

컴퓨터교육

15

4.3

9

94

96

90.5

93.33

763.7

15

2.90

9

92.33

747.00

건설환경공학부

21

4.1

28

89

96

90

92.5

761.06

22

5.70

14

92.50

746.30

사회과학계열

210

4.9

220

96

92

93.5

93.0

762.33

151

3.90

158

94.17

766.50

글로벌리더학

31

8.7

74

98

92

93.5

93.67

768.39

32

6.00

73

94.67

767.90

글로벌경영학

55

9.6

186

96

95

92

93.83

770.46

47

5.60

178

93.17

757.80

자연과학계열

148

4.3

144

91

96

91

92.5

764.41

113

4.20

83

92.67

748.20

공학계열

284

4.7

424

92

98

91.5

93.33

768.18

244

3.90

334

92.83

748.00

※ 소프트웨어학은 2022학년도는 가군에서 모집하였으나 2023학년도부터는 나군에서 모집함

※ 최종등록자 기준 영어 평균등급은 의예과(1등급)를 제외하고 나머지 모집단위에서 모두 2등급이었음

 

지원전략

  • 인문계열 학과는 수능 영역별 반영비율이 국어(40%→35%), 수학(40%→35%), 탐구(20%→30%)로 변경됨에 따라 탐구과목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커졌고, 자연계열 학과는 국어(25%→30%), 수학(40%→35%)으로 변경됨에 따라(탐구는 35% 반영비율 유지) 국어 과목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커졌음.
  • 전년도에 과학탐구에 비해 낮은 사회탐구의 표준점수를 보정하기 위해 사회탐구 과목에서 변환표준점수를 높게 받을 수 있도록 보정하였으므로 올해도 전년도와 같은 변환표준점수를 반영한다면, 인문계열 학과의 탐구영역 반영비율이 20%→30%로 높아진 효과가 더해져 국어 또는 수학 영역에서 부족한 3~4점은 탐구영역의 점수로 보완할 수 있음.

– 전년도에는 사회탐구 성적이 다소 낮아도 국어와 수학 영역의 표준점수가 높으면 유리하였으나 올해는 국어, 수학, 탐구 표준점수의 영향력 편차 없이 고르게 반영되므로 주의해야 함. 단, 변환표준점수는 수능성적이 발표된 이후 발표되므로 사회탐구와 과학탐구의 변환표준 점수를 반드시 확인하고 대학별 환산점수를 계산하여 유불리를 판단해야 함.

– 자연계열 학과의 경우 작년에 국어 25%, 수학 40%를 반영하여 수학 성적이 높은 학생이 절대적으로 유리하였으나 올해는 국어 30%, 수학 35%로 조정하여 과목 간 영향력의 차이가 줄어들었음.

  • 전년도는 수학 표준점수가 상대적으로 높은 학생은 국어, 수학, 탐구의 평균 백분위가 낮더라도 대학별 환산점수가 높아 합격하거나, 수학 표준점수가 상대적으로 낮은 학생은 국어, 수학, 탐구의 평균 백분위가 높더라도 대학별 환산점수가 낮아져 불합격하는 사례를 종종 발견할 수 있었는데 올해는 합격생의 국어, 수학, 탐구의 평균 백분위가 비교적 고르게 분포할 것으로 예상함.

– 단순히 국어, 수학, 탐구의 평균 백분위로 표시한 전년도 합격자의 성적과 자신의 성적과 비교해서 합격, 불합격을 예측해서는 안되며 반드시 대학별 환산점수의 유불리를 따져 지원을 결정해야 함.

  • 인문계열과 자연계열 모두 선호도 높은 학과와 그렇지 않은 학과 간 합격자 최저점수 차이가 크므로 성균관대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이라면 전년도 합격점수와 올해의 경쟁률 추이를 지켜보며 합격 가능성이 높은 학과로 지원하는 것도 신중하게 검토할 것을 권유함. 이때, 복수전공, 연계전공 신청이 불가능한 학과도 있으므로 희망하는 학과의 복수전공, 연계전공 가능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함.
  • 모집군 변동에 따라 합격선과 경쟁률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성균관대의 모집군 변동(소프트웨어학과 가군 → 나군)과 타 대학의 모집군 변동에 따른 유사 학과의 군별 모집인원 변동사항이 자신에게 유리할지 불리할지도 생각해야 함.
  • 올해도 자연계열 학생들의 인문계열 학과로의 교차지원은 최종 합격과 불합격에 큰 영향일 끼칠 것으로 예상함. 교차지원이 몰리는 학과는 예상 합격점수보다 실제 합격점수가 크게 상승할 수 있고, 인문계열 학과로 미적분+과학탐구를 응시한 학생들의 교차지원이 증가한다면 자연계열 학과의 합격선은 예상보다 낮아질 수 있음.

– 교차지원 경향은 모든 인문계열학과에 고르게 나타나는 것이 아니므로 모집단위별 지원 경향성을 잘 살펴보아야 하며 올해 수능의 선택과목별 난이도(표준점수) 차이, 수학 선택과목에 따른 학생들의 점수분포 차이, 탐구과목의 변환표준점수 차이 등 교차지원의 유불리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가 많으므로 올해의 수능시험 결과에 대한 분석 정보를 수집하고 다른 학생들의 지원 경향성을 파악하여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함.

지원 참고자료

복수전공, 연계전공, 융합전공: 2022학년도 입학생 기준

복수전공

•재학 중 최대 3개 전공까지 이수 가능(2전공, 3전공)

•예체능계 등 일부 학과의 복수전공 신청 시 사전자격요건 심사가 필요할 수 있음.

•특정 전공에 인원이 집중될 경우, 복수전공 인원을 제한할 수 있음.

•특성화학과 및 의·약학은 타 학과 학생의 복수전공 신청 대상에서 제외됨.(반도체시스템공학과, 약학대학, 의과대학 소속 학생들은 모든 타 학과로의 복수전공이 불가능함)

* 특성화학과: 글로벌리더학, 글로벌경제학, 글로벌경영학, 반도체시스템공학, 글로벌바이오메디컬공학

•사범대학의 각 학과는 사범대학 학생만 복수전공으로 이수할 수 있음

•심화형 복수전공: 특수전공 이수 학생 중 전공학점을 학과에서 정한 기준만큼 수강하여 전공분야의 전문성을 향상하고자 하는 학생들을 위한 제도

연계전공

•학문 영역 간 유기적 통합과 다변화, 다양화를 위해 2개 이상의 학과 및 전공이 연계된 전공

•일본학, 비교문화학, 글로컬문화콘텐츠학, 미래인문학, 융합언어학, 고전학, 국제통상학, 앙트레프레너십, 공익과 법, 융합소프트웨어, 컴바이오믹스, 에너지과학, 한국학 등

마이크로디그리

•간편하고 빠르게 학점을 취득하고 인증받는 새로운 교육환경 변화추세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자 신설된 제도

•특정학문 분야에서 제시하는 과목군(5~10과목 내외)에서 9~12학점 정도의 최소 단위(micro) 학점을 이수하면 인증서를 발급하는 ‘학점단위 인증제’임.

•인공지능 경제학: 이수대상 6과목 중 택4(12학점)

– 회귀분석입문, 보건빅데이터분석방법론, 머신러닝과경제/금융시계열예측, 경제수치해석, 노동경제학과 데이터사이언스, Digital Payment Methods and Platform Economy

•인공지능 콘텐츠: 이수대상 7과목 중 택4(12학점)

– 문화예술콘텐츠와 인공지능, 인공지능을 통한 콘텐츠기획과 제작1, 인공지능을 통한 콘텐츠기획과 제작2, 문화테크놀로지1, 융합콘텐츠산업의 기업가정신, 소셜인텔리전스, 메타버스의 이해

교직이수

•교사자격증 취득에 필요한 교직 이론과목과 전공과목, 실습 등을 통한 교직 필수 이수요건과 대학 졸업과 관련한 이수 요건 충족하면 교사자격증을 부여함.

•인문사회계열 15개 학과, 자연공학계열 10개 학과, 예체능계열 5개 학과 교직이수 가능

– 교직과정 미설치(또는 폐지) 학과 재학생은 교직과정 및 교직복수전공 이수 불가

– 교직이수 가능학과 안내(정시모집 요강 26페이지 및 입학처 문의)

공학교육인정(ABEEK)

•공학교육인증은 글로벌 스탠다드(Global Standard)에 입각한 공학교육 프로그램

•공학교육인증 심화프로그램 인증기준과 학교 졸업기준을 일치하므로 모든 학생이 공학교육인증 심화프로그램 이수함

•공학교육인증(심화프로그램) 설치 및 운영 학과(부)

– 정보통신대학(전기전자공학부), 소프트웨어 융합대학(컴퓨터공학과), 공과대학(신소재공학부, 기계공학부, 건설환경공학부, 시스템경영공학과, 화학공학/고분자공학공학부)

융합전공

• 학문 간 연계를 통한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고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할 창의융복합 인재양성을 위해 도입한 제도

• 2021학년도부터 학생부종합전형 계열모집으로 글로벌융합학부 신입생 50명 선발

• 그 외 입학 당시 모집단위 계열 및 학과에 상관없이 융합전공으로 진입을 허용하고 있음.(데이터사이언스융합전공, 인공지능융합전공, 컬처앤테크놀로지융합전공 각 20명)

※ 단, 사범대학·약학대학·의과대학·건축학과(5년제)·반도체시스템공학과·예술대학 및 전공예약제 학생 제외

 

기숙사

  • 인문사회과학캠퍼스 기숙사(명륜학사)는 직영기숙사와 임대원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시기별 기숙사 홈페이지 공지를 통해 입사 신청을 받음.

– 임대원룸은 보증금을 학교가 부담하고 임대료와 관리비, 공과금은 입사생이 부담함.

  • 자연과학캠퍼스 기숙사(봉룡학사)는 인·의·예·지·신관 5개 동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시기별 기숙사 홈페이지 공지를 통해 입사 신청을 받음.
  • 시기별 기숙사 홈페이지 공지 예시

 

세부 일정 공지

입사 신청 기간

합격 발표 및 납부 기간

1학기

1월 중순

1월 말 ~ 2월 초

2월 중순

하계 방학 및 계절 학기

5월 중순

5월 말 ~ 6월 초

6월 중순

2학기

7월 중순

7월 말 ~ 8월 초

8월 중순

동계 방학 및 계절학기

11월 중순

11월 말 ~ 12월 초

12월 중순

  • 문의처

– 명륜학사(인문사회과학캠퍼스, 서울): (02)760-0163, 0164, 0167, 0168 / https://dorm.skku.edu/dorm_seoul/

– 봉룡학사(자연과학캠퍼스, 수원): (031)290-5181~6 / https://dorm.skku.edu/dorm_suwon

 

계약학과

  • 성균관대학교 반도체시스템공학과의 경우 2학년 때 삼성최소채용절차인 SSAT와 면접, 신체검사를 통과할 경우 삼성전자의 입사가 확정됨. 입학 이후 2년간 등록금 전액을 지원받고 삼성전자의 채용 절차를 통과하면 이후에도 장학금 혜택을 받게 됨.

 

장학 제도

  • 입학장학금, 일반장학금, 특정장학금, 기타장학금과 별도의 특전이 있는 모집단위
  • 특전이 있는 모집 단위: 글로벌리더학, 글로벌경제학, 글로벌경영학, 반도체시스템공학, 소프트웨어학, 글로벌바이오메디컬공학
  • 장학제도별 장학명

장학금 구분

장학명

입학장학금

성균인재플러스장학금, 삼성장학금Ⅰ, 삼성장학금Ⅱ, 성균미래인재장학금Ⅰ, 성균미래인재장학금Ⅱ, 삼성반도체장학금, 율곡장학금, 장영실장학금, 다산장학금

일반장학금

성적우수, 문행, 학생성공장학금

특정장학금

국가유공자자녀, 국가유공자본인, 성균복지, 양현재, 체육우수, 외국인교포, 공로(고시), 성균가족

기타장학금

기금장학금, 동문기부장학금 등

※ 교내·외 장학제도에 대해서는 성균관대학교 홈페이지(https://www.skku.edu/) [대학생활] → [장학제도] 참조

출처> 쎈진학 2023 정시모집의 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