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 정시 요강과 입결

주요 변경 내용

전년도와 달라진 점

2023학년도

2022학년도

지원자격

• 사이버국방학과: 두 가지 조건 모두 충족해야 함

가) 수학(미/기) 1등급 또는 과탐(2) 1등급 이내

나) 국수영과(2) 4개 영역 합 7 이내, 한국사 4 이내

• 사이버국방학과:

수학(미/기) 1등급 또는 과탐(2) 1등급 이내

 

수능 반영 방법

• 컴퓨터학과: 국어, 수학(미/기), 영어, 과탐(2)

 

 

• 컴퓨터학과:

A형) 모집인원 75% – 국어, 수학(미/기), 영어, 과탐(2)

B형) 모집인원 25% – 국어, 수학, 영어, 탐구(2)

기타

• 의과대학, 간호대학 – 적성·인성 면접고사는 대면 면접으로 시행

 

 

구분

일정

비고

가군

원서 접수

2022. 12. 30.(금) 10:00 ~ 2023. 1. 2.(월) 17:00

 

서류 제출

2022. 12. 30.(금) 10:00 ~ 2023. 1. 2.(월) 19:00

온라인 및 등기우편 제출만 가능

(2023. 1. 3.(화) 우체국 접수까지 유효)

면접

사이버국방학과

2023. 1. 10.(화) ~ 11.(수)

고사 장소:

1. 6.(금) 인재발굴처 홈페이지에 공지

의과대학, 간호대학

2023. 1. 12.(목) 08:30

최초 합격자 발표

일반전형

(일부 학과 제외)

2023. 1. 27.(금) 17:00

인재발굴처 홈페이지

일반전형

(의과대학, 간호대학, 체육교육과, 디자인조형학부, 사이버국방학과)

기회균등

2023. 2. 6.(월) 17:00

최초 합격자 등록

2023. 2. 7.(화) ~ 9.(목) 14:00

 

충원 합격자 발표 및 등록

2023. 2. 10.(금) 10:00 ~ 16.(목) 18:00

1차 ~ 4차는 인재발굴처 홈페이지 공지

5차 이후는 전화 개별 통보

최종 충원 합격자 등록 마감

2023. 2. 16.(목) 18:00

합격자 발표 시 개별통보

 

 

가군 (일반전형 기준)

모집단위

계열

2023

2022

2021

2020

모집

인원

최초

인원

이월

인원

최종

인원

최초

인원

이월

인원

최종

인원

최초

인원

이월

인원

최종

인원

경영대학

인문

98

97

8

105

44

3

47

44

3

47

국어국문학과★

20

21

4

25

10

0

10

14

0

14

철학과★

14

15

1

16

8

0

8

12

3

15

한국사학과

9

9

3

12

5

0

5

6

0

6

사학과

16

16

4

20

8

0

8

11

2

13

사회학과★

29

29

1

30

15

0

15

19

1

20

한문학과★

9

9

3

12

4

1

5

3

0

3

영어영문학과★

38

38

12

50

19

6

25

13

4

17

독어독문학과★

12

13

3

16

7

0

7

3

0

3

불어불문학과★

14

14

4

18

7

0

7

7

4

11

중어중문학과★

20

20

5

25

10

2

12

6

2

8

노어노문학과★

13

13

2

15

7

4

11

5

0

5

일어일문학과★

15

15

7

22

8

0

8

6

3

9

서어서문학과

18

18

6

24

9

2

11

6

1

7

언어학과

11

11

0

11

5

0

5

4

3

7

생명과학부★

자연

37

37

1

38

18

1

19

11

7

18

생명공학부

40

40

3

43

20

5

25

14

8

22

식품공학과

17

17

0

17

8

1

9

6

4

10

환경생태공학부

25

26

2

28

13

1

14

9

2

11

식품자원경제학과

인문

20

21

1

22

10

1

11

13

2

15

정치외교학과★

29

29

11

40

14

3

17

10

5

15

경제학과★

49

49

12

61

24

1

25

18

1

19

통계학과★

25

25

1

26

13

1

14

9

2

11

행정학과★

27

28

1

29

14

0

14

9

0

9

수학과★

자연

17

17

6

23

8

8

16

6

5

11

물리학과★

18

17

4

21

8

4

12

6

8

14

화학과★

17

17

2

19

8

5

13

6

5

11

지구환경과학과★

13

13

1

14

6

1

7

5

0

5

화공생명공학과

31

31

10

41

15

13

28

7

15

22

신소재공학부

49

49

11

60

24

6

30

15

6

21

건축사회환경공학부

35

36

0

36

17

0

17

11

5

16

건축학과

15

15

1

16

7

4

11

6

2

8

기계공학부

51

51

19

70

25

16

41

17

17

34

산업경영공학부

18

20

2

22

10

0

10

5

1

6

전기전자공학부

62

62

13

75

31

28

59

19

18

37

반도체공학과

10

5

5

10

5

11

16

 

 

 

융합에너지공학과

11

11

1

12

5

10

15

 

 

 

차세대통신학과

12

 

 

 

 

 

 

 

 

 

의과대학

25

25

2

27

20

0

20

15

23

38

교육학과

인문

19

19

5

24

9

1

10

13

2

15

국어교육과

15

15

3

18

8

0

8

11

3

14

영어교육과

24

24

1

25

12

0

12

7

4

11

지리교육과

13

13

5

18

7

1

8

8

3

11

역사교육과

10

11

5

16

5

0

5

8

0

8

가정교육과

자연

13

13

0

13

12

1

13

9

9

18

수학교육과

13

13

2

15

7

0

7

3

3

6

간호대학★

A형

자연

13

14

2

16

12

0

12

16

7

23

B형

13

13

2

15

컴퓨터학과

인문

 

11

3

14

22

4

26

13

8

21

자연

44

33

12

45

데이터과학과

자연

11

11

3

14

5

4

9

 

 

 

국제학부

인문

0

0

4

4

0

2

2

0

0

0

글로벌한국융합학부

0

0

0

0

0

0

0

0

0

0

미디어학부

27

27

0

27

13

3

16

7

0

7

바이오의공학부

자연

24

24

2

26

12

2

14

13

1

14

바이오시스템의과학부

24

24

1

25

12

0

12

14

3

17

보건환경융합과학부

43

43

1

44

21

3

24

24

6

30

보건정책관리학부

인문

29

29

0

29

15

0

15

20

3

23

자유전공학부

A형

인문

18

18

1

19

18

1

19

12

1

13

B형

19

19

1

20

스마트보안학부

자연

11

11

0

11

10

0

10

 

 

 

사이버국방학과

10

12

0

12

12

0

12

13

0

13

심리학부

인문

19

20

1

21

10

0

10

12

0

12

스마트모빌리티학부

자연

20

 

 

 

 

 

 

 

 

 

 

※ 건축학과는 5년 과정임

※ 반도체공학과는 ㈜SK하이닉스와 협약에 의해 설치된 채용조건형 계약학과임

※ 사이버국방학과는 졸업 후 사이버작전사령부 등 사이버 국방 유관기관에서 7년간 장교로 의무복무하게 됨(등록금 전액 지원)

※ 자유전공학부 입학생은 1학년 1학기부터 공공거버넌스와 리더십 융합전공을 제2전공으로 시작하고, 3학기 이후에는 지원하여 배정받은 인문사회계(경영대학, 문과대학, 식품자원경제학과, 정경대학, 국제대학, 미디어학부, 심리학부) 및 자연계(컴퓨터학과, 데이터과학과, 스마트보안학부, 융합에너지공학과)를 제1전공으로 이수함

※ 간호대학과 자유전공학부는 A형(미적/기하 + 과탐) 50%, B형(확통/미적/기하 + 사탐/과탐) 50% 선발함

※ ★표시는 교직과정이 설치된 학과로 교원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음

모집군

모집단위

선발방법

전형 요소별 반영 비율(%)

전형총점

수능

학생부

기타

교과

비교과

인문, 자연

일괄합산

100

 

 

 

1,000점

의과대학, 간호대학

100

 

 

적성·인성 면접

사이버국방학과

80

 

 

군면접, 체력검정 등 20

※ 실기가 반영되는 전형은 「정시전형 진학지도 길잡이(총론)」 참고

※ 의과대학, 간호대학 적성·인성 면접은 결격 판단용으로 활용하며, 별도의 배점이 없음

반영영역 및 비율

모집군

전형

유형

모집계열

(단위)

활용

지표

대학수학능력시험 반영비율(%)

영어

반영
방법

국어

수학

영어

탐구

한국사

제2외국어/한문

화법과

작문

언어와

매체

확률과통계

미적분/기하

사회

과학

과목수

일반

전형

인문,

가정교육과

표준점수

+

변환표준

점수

35.71

35.71

감점

28.58

2

가산점

미반영

감점

자연

31.25

 

37.5

 

31.25

간호대학,

자유전공

학부

A형

31.25

 

37.5

31.25

B형

35.71

35.71

28.58

※ 표준점수 반영: 국, 수 / 변환표준점수 반영: 탐구

※ 간호대학, 자유전공학부 모집단위는 지정 응시 영역별로 선발함. 단, 지정 응시 영역별로 선발 대상자가 없을 경우 타 지정 응시 영역에서 선발할 수 있음

 

영어 반영 방법 (감점)

등급

1

2

3

4

5

6

7

8

9

환산점수

0

-3

-6

-9

-12

-15

-18

-21

-24

 

한국사 반영 방법 (가산점)

등급

1

2

3

4

5

6

7

8

9

인문

10

10

10

9.8

9.6

9.4

9.2

9.0

8.0

자연

10

10

10

10

9.8

9.6

9.4

9.2

8.0

 

 

 

 

 

※ 합격자 성적: 최종합격자 기준 70%컷

※ 충원율: 모집인원을 기준으로 추가합격 된 인원만 표시한 비율(모집인원 10명에 예비 9번까지 합격하였다면 충원율은 90%)

모집단위

2022

2021

모집인원

경쟁률

충원율

합격자 성적

모집인원

경쟁률

충원율

합격자 성적

국수탐

백분위

대학별

환산점

국수탐

백분위

대학별

환산점

경영대학

105

4.00

52.4

94.33

673.18

47

3.38

53.2

97.33

678.58

국어국문학과

25

2.68

8.0

93.37

662.84

10

2.40

10.0

95.78

671.42

철학과

16

2.69

18.8

93.92

663.29

8

2.75

0.0

94.45

672.46

한국사학과

12

2.58

16.7

92.43

660.52

5

2.20

0.0

96.37

670.90

사학과

20

3.30

20.0

92.73

659.92

8

3.13

12.5

95.12

664.88

사회학과

30

3.10

16.7

93.45

666.70

15

2.93

6.7

96.37

675.08

한문학과

12

4.83

16.7

92.27

657.28

5

4.40

20.0

94.57

668.77

영어영문학과

50

3.02

10.0

92.83

662.73

25

3.72

0.0

95.87

671.99

독어독문학과

16

4.50

6.3

92.83

658.61

7

4.00

14.3

95.07

670.43

불어불문학과

18

3.83

11.1

93.02

660.66

7

4.14

14.3

94.80

668.94

중어중문학과

25

8.28

20.0

92.87

658.78

12

5.50

8.3

95.60

669.52

노어노문학과

15

6.33

13.3

92.17

659.47

11

3.18

0.0

94.33

668.53

일어일문학과

22

3.05

18.2

92.88

659.62

8

3.50

0.0

95.93

670.47

서어서문학과

24

3.25

0.0

93.47

661.84

11

3.73

9.1

96.83

671.13

언어학과

11

4.00

9.1

93.00

666.16

5

3.80

0.0

96.37

666.95

생명과학부

38

3.11

23.7

93.85

673.40

19

3.05

31.6

92.63

656.54

생명공학부

42

3.10

38.1

94.10

675.92

25

3.48

24.0

94.17

659.58

식품공학과

17

3.94

0.0

93.07

670.84

9

9.22

22.2

94.23

656.33

환경생태공학부

28

4.86

14.3

92.83

667.71

14

3.21

7.1

91.93

655.55

식품자원경제학과

22

3.05

0.0

93.72

669.68

11

2.45

18.2

95.43

671.40

정치외교학과

39

4.00

23.1

93.45

668.10

17

3.24

11.8

96.60

675.73

경제학과

61

3.39

29.5

94.95

673.53

25

2.80

32.0

95.87

673.87

통계학과

25

3.12

24.0

94.00

675.32

14

3.71

28.6

96.93

676.36

행정학과

29

4.21

17.2

94.10

669.34

14

4.93

35.7

96.87

667.51

수학과

22

3.45

45.5

93.83

676.00

16

3.94

43.8

93.25

657.97

물리학과

21

2.57

19.0

93.67

673.94

12

4.08

75.0

92.17

656.02

화학과

19

7.16

10.5

93.20

672.58

13

4.00

0.0

93.23

657.29

지구환경과학과

13

5.08

23.1

93.42

668.26

7

4.14

42.9

93.10

654.32

화공생명공학과

41

3.44

56.1

94.00

679.71

28

3.54

75.0

93.73

659.67

신소재공학부

60

2.67

20.0

94.40

678.12

30

3.77

13.3

93.07

656.87

건축사회환경공학부

36

3.39

8.3

93.75

671.60

17

3.53

29.4

93.53

656.45

건축학과

16

2.75

25.0

93.03

672.25

11

3.00

27.3

92.00

655.02

기계공학부

70

3.29

21.4

94.33

678.21

41

3.24

31.7

93.02

658.68

산업경영공학부

22

2.68

4.5

94.22

676.98

10

4.00

20.0

92.55

652.63

전기전자공학부

75

3.27

49.3

94.33

679.95

59

3.25

35.6

94.47

662.22

반도체공학과

10

5.80

160.0

96.47

692.80

16

3.94

150.0

95.63

668.79

융합에너지공학과

12

3.17

16.7

94.93

677.71

5

6.60

20.0

93.13

654.64

의과대학

27

3.44

22.2

97.97

716.94

20

3.85

0.0

98.80

690.63

교육학과

24

3.29

16.7

92.83

664.76

10

2.90

30.0

96.82

671.21

국어교육과

18

3.00

16.7

93.25

666.18

8

2.75

25.0

96.72

672.77

영어교육과

25

3.84

20.0

92.87

663.97

12

3.33

8.3

96.45

670.51

지리교육과

18

9.28

0.0

93.52

658.56

8

2.75

12.5

95.30

669.61

역사교육과

16

2.88

6.3

93.42

661.17

5

2.40

40.0

94.10

655.68

가정교육과

13

2.31

38.5

92.17

660.71

13

3.15

7.7

96.83

670.15

수학교육과

15

3.60

60.0

94.70

675.93

7

6.29

71.4

93.87

658.19

간호대학

A형

16

2.94

25.0

87.17

638.27

6

3.67

0.0

92.07

652.22

B형

15

2.47

26.7

93.20

662.22

6

3.67

66.7

96.17

667.07

컴퓨터학과

A형

45

4.00

93.3

93.17

674.22

13

4.15

115.4

95.08

666.17

B형

14

3.93

128.6

94.10

684.84

13

4.85

123.1

97.07

678.34

데이터과학과

14

4.14

35.7

95.32

683.16

9

4.89

55.6

94.23

661.64

국제학부

3

14.33

33.3

92.87

656.28

2

7.50

0.0

 

 

미디어학부

27

3.67

44.4

93.97

668.54

16

3.75

12.5

95.67

669.21

바이오의공학부

25

3.80

32.0

94.00

675.14

14

3.93

28.6

93.80

658.55

바이오시스템의과학부

24

3.04

20.8

94.03

674.35

12

4.50

33.3

92.00

652.51

보건환경융합과학부

44

3.18

4.5

94.17

670.77

24

3.50

20.8

91.50

655.76

보건정책관리학부

29

3.59

24.1

93.33

666.79

15

3.13

6.7

95.97

673.00

자유전공학부

A형

19

3.58

31.6

94.87

676.48

10

4.20

0.0

93.30

655.11

B형

20

3.95

40.0

93.67

669.13

9

4.89

0.0

96.57

672.13

스마트보안학부

11

3.73

18.2

94.83

679.95

10

4.50

60.0

92.00

659.84

사이버국방학과

12

2.42

33.3

95.83

551.10

12

2.33

58.3

91.72

516.22

심리학부

21

4.38

19.0

93.83

670.09

10

4.70

40.0

96.00

668.46

 

• 국제학부는 모집인원 소수로 입시결과 미공개

• 차세대통신학과 신설: 12명 (삼성전자와 협약에 의해 설치된 채용조건형 계약학과)

• 스마트모빌리티학부 신설: 20명 (현대자동차와 협약에 의해 설치된 채용조건형 계약학과로 학·석사 통합과정(학사 3.5년 + 석사 1.5년)
이며 정원외로 선발)

지원전략

  • 정시 수능위주전형은 반영방법부터 경향성까지 다양한 요소가 입시결과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작용함. 특히, 고려대의 경우는 의약학계열, 서울대 등과 연결되는 점, 당해연도의 경쟁률을 참고하여 지원하기 어려운 점들이 있으므로 대학별환산점수의 유·불리와 함께 변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다음의 내용을 참고하여 지원해야 함
  • 지원 경향이 비슷한 대학의 군별 일반전형 모집인원 현황

[인문]

고려대

699

서울대

434

중앙대

197

연세대

754

서강대

369

한국외대

64

성균관대

357

성균관대

222

홍익대

311

한양대

332

한양대

93

 

 

한국외대

201

이화여대

317

 

 

 

 

한국외대

401

 

 

 

[자연]

고려대

722

서울대

707

중앙대

168

연세대

591

서강대

244

건국대

52

성균관대

281

성균관대

473

홍익대

531

한양대

504

한양대

205

 

 

경희대

337

이화여대

422

 

 

 

 

경희대

612

 

 

의예과

556

의예과

477

의예과

165

치의예과

88

치의예과

156

치의예과

20

한의예과

66

한의예과

153

한의예과

71

약학과

332

약학과

382

약학과

59

※ 서울대 지역균형전형 인원 포함 서울대 자유전공학부는 인문계열, 간호대학은 자연계열 인원에 포함

※ 연세대 시스템반도체공학과 10명과 디스플레이융합공학과 10명은 특별전형으로 제외함

※ 서강대 지식융합미디어학부는 수능 필수응시영역 적용 시 인문계열로 구분함

※ 한양대 자연계열에 반도체공학과 16명 포함

※ 이화여대 미래산업약학전공과 간호학부는 자연계열 인원에 포함

※ 의예과 인원에 고려대 의예과 27명 포함

 

  • 고려대 일반전형 인문 지원자 타대학 지원현황(쎈진학 자료) • 고려대 일반전형 자연 지원자 타대학 지원현황(쎈진학 자료)

순위

지원대학

전형

지원/

지원대비합격

1

중앙대

정시일반전형

30.6 / 53.6

2

성균관대

일반전형 나군

16.4 / 71.6

3

서강대

일반

13.4 / 52.7

4

서울대

일반전형

7.3 / 26.7

5

한국외대

일반전형

5.6 / 26.1

6

이화여대

수능전형

3.7 / 53.3

7

홍익대

수능우수자전형

3.2 / 38.5

순위

지원대학

전형

지원/

지원대비합격

1

중앙대

정시일반전형

27.2 / 53.7

2

서울대

일반전형

15.2 / 47.8

3

성균관대

일반전형 나군

11.9 / 53.7

4

한양대

나군 일반

9.7 / 65.9

5

서강대

일반

7.5 / 44.1

6

건국대

KU일반학생 – 다군

5.5 / 24.0

7

경희대

나군 – 수능위주전형

5.3 / 29.2

순위

지원대학

전형

지원/

지원대비합격

1

중앙대

정시일반전형

30.6 / 53.6

2

성균관대

일반전형 나군

16.4 / 71.6

3

서강대

일반

13.4 / 52.7

4

서울대

일반전형

7.3 / 26.7

5

한국외대

일반전형

5.6 / 26.1

6

이화여대

수능전형

3.7 / 53.3

7

홍익대

수능우수자전형

3.2 / 38.5

순위

지원대학

전형

지원/

지원대비합격

1

중앙대

정시일반전형

27.2 / 53.7

2

서울대

일반전형

15.2 / 47.8

3

성균관대

일반전형 나군

11.9 / 53.7

4

한양대

나군 일반

9.7 / 65.9

5

서강대

일반

7.5 / 44.1

6

건국대

KU일반학생 – 다군

5.5 / 24.0

7

경희대

나군 – 수능위주전형

5.3 / 29.2

– 쎈진학 자료에 따르면, 고려대 인문계열 지원자들의 지원대비 합격 비율이 높은 다른 대학은 성균관대 71.6 > 중앙대 53.6 > 이화여대 53.3 > 서강대 52.7로 나타나고 있음. 성균관대, 이화여대, 서강대는 나군 모집을 지원한 경우이고, 중앙대의 경우는 다군 모집을 지원한 것으로 보임. 수능성적 ‘언어와 매체 125/91/2, 확률과 통계 134/95/2, 영어 1등급, 한국사 1등급, 생활과 윤리 66/99/1, 윤리와 사상 68/100/1’ 받고, 가군 고려대 역사교육학과, 나군 성균관대 사회과학계열, 다군 중앙대 경영학부(경영학전공)에 합격한 사례가 있음. 이 학생의 성적은 쎈진학을 기준으로 고려대 환산점 660.743으로 역사교육학과(최초 합격자 환산점 666.87 ~ 665.66) 예비 1번으로 합격했고, 성균관대 환산점으로 766.77으로 최초합 45명(환산점 794.06 ~ 763.6) 중에 24번째 성적임 고려대와 성균관대의 인문계열은 영역별 반영비율이 비슷하여 가군을 지원할 때 탐구의 변환표준점수를 꼭 확인하고 지원할 것을 권함

– 쎈진학 자료에 따르면, 고려대 자연계열 지원자들의 지원대비 합격 비율이 높은 다른 대학은 한양대 65.9 > 성균관대 53.7 > 중앙대 53.7 > 서울대 47.8로 나타나고 있음. 자연계열은 성균관대, 한양대, 서울대는 나군 지원이고, 중앙대의 경우는 인문계열과 같이 다군 모집에 많이 지원한 것으로 보임 쎈진학에서 환산점이 고려대 일반전형의 가장 낮은 합격자는 657.13 으로 가정교육과에 합격한 학생임. 수능은 ‘언어와 매체 134/98/1, 미적분 127/89/2, 영어 2등급, 한국사 1등급, 물리학Ⅰ 60/80/3, 생명과학Ⅰ 67/99/1’을 받음. 이 학생은 나군 이화여대 인문계열 합격, 다군 중앙대 간호학과 불합격함 고려대 가정교육과 합격자는 2명이라 비교가 힘들지만, 이화여대 인문계열의 경우는 환산점이 918.84로 합격자 47명(환산점 927.7 ~ 913.84) 중 23번째에 해당하는 성적임

 

  • 고려대 반도체공학과 지원자 타대학 지원현황(쎈진학 자료) • 고려대 사이버국방학과 지원자 타대학 지원현황(쎈진학 자료)

순위

지원대학

전형

지원/

지원대비합격

1

중앙대

정시일반전형

33.3 / 100

1

DGIST

수능위주

33.3 / 100

1

계명대

일반전형

33.3 / 100

 

 

 

 

 

 

 

 

순위

지원대학

전형

지원/

지원대비합격

1

건국대

KU일반학생 – 다군

40.0 / 0.0

2

경희대

나군 – 수능위주전형

20.0 / 0.0

2

중앙대

정시일반전형

20.0 / 100

2

건국대

KU일반전형 – 나군

20.0 / 100

2

세종대

일반학생전형

20.0 / 0.0

순위

지원대학

전형

지원/

지원대비합격

1

중앙대

정시일반전형

33.3 / 100

1

DGIST

수능위주

33.3 / 100

1

계명대

일반전형

33.3 / 100

 

 

 

 

 

 

 

 

순위

지원대학

전형

지원/

지원대비합격

1

건국대

KU일반학생 – 다군

40.0 / 0.0

2

경희대

나군 – 수능위주전형

20.0 / 0.0

2

중앙대

정시일반전형

20.0 / 100

2

건국대

KU일반전형 – 나군

20.0 / 100

2

세종대

일반학생전형

20.0 / 0.0

– 쎈진학 자료 중 고려대 반도체공학과를 지원하고 계명대를 지원한 경우는 다군 계명대 약학과를 지원한 사례임. 고려대 환산점이 697.31점으로 ‘언어와 매체 146/100/1, 미적분 137/96/1, 영어 1등급, 한국사 1등급, 화학Ⅰ 62/91/2, 지구과학Ⅰ 68/96/1’의 수능 성적을 받음

– 쎈진학 자료 중 고려대 자연계열에서 계명대 약학과를 지원한 경우는 6명이 있고, 3명의 학생이 합격함

– 사이버국방학과의 경우에 2023학년도 대입의 지원조건이 ‘가) 수학(미/기) 1등급 또는 과탐(2) 1등급 이내, 나) 국수영과(2) 4개 영역 합 7 이내, 한국사 4 이내’의 2가지 모두를 만족하는 것으로 강화되었기에 주의를 요함

 

  • 주요 대학 수능 영역별 반영비율 비교

대학

계열

국어

수학

영어

탐구

제2외/

한문

한국사

확/미/기

미/기

사/과탐

과탐

고려대

인문

35.7

35.7

 

감점

28.6

 

 

가산점

자연

31.25

 

37.5

감점

 

31.25

 

가산점

연세대

인문

33.33

33.33

 

16.67

16.67

 

 

가산점

자연

22.22

 

33.33

11.11

 

33.33

 

가산점

서강대

인문

36.7

43.3

 

가산점

20

 

 

가산점

자연

36.7

 

43.3

가산점

 

20

 

가산점

서울대

인문

33.3

40

 

감점

26.7

 

감점

감점

자연

33.3

 

40

감점

 

26.7

 

감점

가, 나

성균관대

인문

35

35

 

가산점

30

 

 

가산점

자연

30

 

35

가산점

 

35

 

가산점

가, 나

한양대

인문

30

30

 

10

30

 

 

감점

상경

30

40

 

10

20

 

 

감점

자연

20

 

35

10

 

35

 

감점

간호학과

20

35

 

10

35

 

 

감점

가, 나

이화여대

인문

30

25

 

20

25

 

 

가산점

자연

25

 

30

20

 

35

 

가산점

가, 나, 다

중앙대

인문

40

40

 

가산점

20

 

 

가산점

공공인재

35

40

 

가산점

25

 

 

가산점

경영경제

35

45

 

가산점

20

 

 

가산점

자연

25

 

40

가산점

 

35

 

가산점

– 인문계열에서 국어 반영비율이 높은 대학은 중앙대 인문 > 서강대 > 고려대 순이고, 수학 반영비율이 높은 대학은 서강대 > 서울대 = 한양대 상경 = 중앙대 인문/공공인재학부 > 고려대 순임. 고려대의 국어와 수학의 반영비율은 탐구 대비하여 1.25배가 적용되는 것으로 연세대와 중앙대의 2배보다는 고르게 반영비율이 적용되고 있음

– 인문계열에서 국어와 수학의 합산 반영비율이 서강대 및 성균관대 80% > 서울대 73.3% > 고려대 71.4% > 한양대 상경 70% 순임. 국어와 수학을 잘 보고 과학 탐구의 성적이 상대적으로 낮은 학생은 인문계열로 교차지원을 하는 경우 합격 가능성을 높이는 지원전략이 될 수 있음

– 자연계열에서 국어 반영비율이 높은 대학은 서강대 > 서울대 > 고려대 > 성균관대 순이고, 수학 반영비율이 높은 대학은 서강대 > 서울대 = 중앙대 > 고려대 순임. 고려대 수학 반영비율은 국어 반영비율에 대비하여 1.2배가 적용되고 있는데, 이는 한양대 1.75배, 중앙대 1.6배, 연세대 1.5배보다는 낮고, 서울대, 이화여대와는 같음. 서강대 1.17배, 성균관대 1.16배보다는 높음

– 고려대는 과학 탐구의 반영비율이 서강대, 서울대를 제외하고는 높지 않기 때문에, 국어와 수학을 잘 보고 상대적으로 과학 탐구 성적이 낮은 학생들이 지원해서 합격하는 사례도 있음. 쎈진학 사례를 보면 ‘언어와 매체 131/96/1, 미적분 140/98/1, 영어 2, 한국사 1, 물리학Ⅰ 63/90/2, 지구과학Ⅱ 62/87/3’을 받은 학생이 고려대 전기전자공학부에 합격을 했지만, 한양대 에너지공학과에는 과학탐구Ⅱ에 가산점 3%를 받고도 불합격한 사례가 있어, 대학별 반영방법에 따른 유·불리가 있음을 유의해야 함

 

  • 주요 대학 영어영역 반영방법 비교

영어등급

대학

반영방법

1

2

3

4

5

고려대

감점

0

-3

-6

-9

-12

서울대

감점

0

-0.5

-2.0

-4.0

-6.0

서강대

가산점

100

99

98

97

96

성균관대

가산점

100

97

92

86

75

중앙대

가산점

100

98

95

92

86

연세대

 

100

95

87.5

75

60

비율

인문(16.67)

166.7

158.4 (-8.3)

145.9 (-12.5)

125.0 (-20.9)

100.0 (-25.0)

자연(11.11)

111.1

105.5 (-5.6)

97.2 (-8.3)

83.3 (-13.9)

66.7 (-16.6)

한양대

인문

비율 (10)

100

96

90

82

72

자연

100

98

94

88

80

이화여대

비율 (20)

100

98

94

88

84

 

※ 연세대의 경우는 반영비율로 환산하여 등급 간의 점수 차를 소수점 첫째 자리까지 표시한 것임

– 대학별로 단순 등급 간 점수 차가 아닌 등급 간 점수 차와 반영비율을 함께 고려하여야 함

– 고려대는 등급 간 3점씩 감점을 함

– 연세대와 한양대, 이화여대의 경우는 영어 반영비율 때문에 실질 점수 차이는 더 많이 날 수 있음. 연세대는 1등급과 2등급의 점수 차는 5점이지만, 반영비율을 적용하면 인문은 8.3점, 자연은 5.6점의 차이가 남. 한양대 인문은 1등급과 2등급의 차이가 4점, 자연은 2점임. 이화여대의 경우는 1등급과 2등급의 차이가 2점이지만, 반영비율을 적용하면 4점의 차이가 남

 

  • 주요 대학 한국사 영역 반영방법 비교

한국사 등급

대학

반영방법

1

2

3

4

5

6

7

8

9

고려대

인문

가산점

10

10

10

9.8

9.6

9.4

9.2

9

8

자연

10

10

10

10

9.8

9.6

9.4

9.2

8

연세대

가산점

10

10

10

10

9.8

9.6

9.4

9.2

9

서강대

가산점

10

10

10

10

9.6

9.2

8.8

8.4

8

성균관대

가산점

10

10

10

10

9

8

7

6

5

이화여대

인문

가산점

10

10

10

9.8

9.6

9.4

9.2

9

8.5

자연

10

10

10

10

9.8

9.6

9.4

9.2

8.5

중앙대

가산점

10

10

10

10

9.6

9.2

8.8

8.4

8

서울대

감점

0

0

0

-0.4

-0.8

-1.2

-1.6

-2.0

-2.4

한양대

인문

감점

0

0

0

-0.1

-0.2

-0.3

-0.4

-0.5

-0.6

자연

0

0

0

0

-0.1

-0.2

-0.3

-0.4

-0.5

 

– 서울대, 한양대를 제외하고는 한국사 영역의 반영은 가산점으로 함

– 고려대의 경우는 인문계열은 3등급까지, 자연계열은 4등급까지 10점을 부여하는데, 이는 상위 대학이 비슷하고 등급별로 0.2점씩 감점하는 것도 비슷함

– 서강대, 서울대, 중앙대의 경우에 등급 간 간격이 0.4점으로 감점을 하고, 성균관대는 1점씩 감점을 하기에 미세한 성적으로 당락이 좌우되는 서울시내 주요 대학의 경우에 한국사 영역의 성적에도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음

 

  • 2022학년도 최종 등록자 환산점수 70%컷 상위 및 하위 모집단위

[인문]

구분

최종 등록자 환산점수 70% cut

모집단위

모집

인원

경쟁률

충원

인원

최종 등록자 백분위 70% cut

등급

국어

수학

탐구

평균

영어

상위

모집단위

675.32

통계학과

25

3.12

6

97.00

96.00

87.25

94.00

2

673.53

경제학과

61

3.39

18

96.00

95.70

90.85

94.95

2

673.18

경영대학

105

4.00

55

97.00

95.00

89.60

94.33

2

670.09

심리학부

21

4.38

4

96.00

95.00

90.50

93.83

2

669.68

식품자원경제학과

22

3.05

0

97.00

95.00

88.50

93.72

2

하위

모집단위

656.28

국제학부

3

14.33

1

95.30

91.80

85.95

92.87

2

657.28

한문학과

12

4.83

2

94.60

92.00

88.65

92.73

2

658.56

지리교육과

18

9.28

0

95.00

91.10

92.55

93.52

2

658.61

독어독문학과

16

4.50

1

95.50

91.50

91.75

92.83

2

658.78

중어중문학과

25

8.28

5

91.20

92.00

89.50

92.87

2

 

– 2021학년도 정시에서 상위 모집단위는 경영대학(678.5) > 통계학과(676.3) > 정치외교학과(675.7) > 사회학과(675.0) > 경제학과(673.8)의 순이었고, 심리학부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낮은 입결을 보였는데 2022학년도에 상승하였음

– 2021학년도 정시에서 하위 모집단위는 간호대학(652.2) < 역사교육과(655.6) < 사학과(664.8) < 언어학과(666.9) < 행정학과(667.5)의 순이었고, 행정학과의 경우는 2022학년도에 입결이 상승하였음. 한문학과의 경우는 2년 연속 낮은 입결을 보여주고 있음

 

[자연] (의과대학, 사이버국방학과 제외)

구분

최종 등록자 환산점수 70% cut

모집단위

모집

인원

경쟁률

충원

인원

최종 등록자 백분위 70% cut

등급

국어

수학

탐구

평균

영어

상위

모집단위

692.8

반도체공학과

10

5.80

16

98.00

99.00

91.00

96.47

2

683.16

데이터과학과

14

4.14

5

96.00

98.90

89.50

95.32

1.9

679.95

스마트보안학부

11

3.73

2

96.00

96.00

89.50

94.83

1

679.95

전기전자공학부

75

3.27

37

96.00

97.60

88.50

94.33

2

679.71

화공생명공학과

41

3.44

23

95.00

98.00

89.00

94.00

2

하위

모집단위

638.27

간호학과

16

2.94

4

80.00

92.50

85.75

87.17

2

667.71

환경생태공학부

28

4.86

4

93.00

95.10

87.60

92.83

2

668.26

지구환경과학과

13

5.08

3

91.90

97.80

88.95

93.42

2

670.77

보건환경융합과학부

44

3.18

2

95.00

96.00

90.50

94.17

2

670.84

식품공학과

17

3.94

0

92.00

96.00

87.90

93.07

2

– 2021학년도 정시에서 상위 모집단위는 가정교육과(670.1) > 반도체공학과(668.7) > 간호대학(667.0) > 컴퓨터학과(666.1) > 전기전자공학부(662.2)의 순이었고, 간호대학은 2021학년도에는 입결이 높았지만, 2022학년도에는 입결이 낮아짐

– 2021학년도 정시에서 하위 모집단위는 바이오시스템의과학부(652.5) < 산업경영공학부(652.6) < 지구환경과학과(654.3) < 융합에너지공학과(654.6) < 건축학과(655.0)의 순이었고, 산업경영공학부의 경우는 2022학년도에 입결이 상승하였음. 환경생태공학부의 경우는 2년 연속 낮은 입결을 보여주고 있음

 

  • 쎈진학 2022학년도 정시 인문계열 수학 및 탐구 지원 현황(단위: 명)

구분

확통+탐

미/기+사

미/기+과

확통+탐

미/기+사

미/기+과

경영대학

11

2

10

17

 

9

국어국문학과

2

 

0

6

 

1

철학과

6

 

2

1

 

1

한국사학과

1

 

1

2

 

0

사학과

2

1

2

4

 

3

사회학과

2

1

1

5

 

2

한문학과

4

 

1

3

 

2

영어영문학과

2

 

9

6

 

3

독어독문학과

1

 

1

5

 

1

불어불문학과

1

 

1

1

 

2

중어중문학과

1

 

2

10

 

8

노어노문학과

2

 

3

2

 

8

일어일문학과

4

 

1

3

 

3

서어서문학과

0

 

2

5

 

4

언어학과

0

 

4

4

 

2

식품자원경제학과

1

 

1

4

 

4

정치외교학과

4

 

2

9

 

2

경제학과

9

1

5

5

1

8

통계학과

0

 

7

2

 

1

행정학과

3

 

3

4

 

1

교육학과

1

 

6

5

1

2

국어교육과

1

 

2

3

 

3

영어교육과

2

 

4

2

 

2

지리교육과

0

 

2

9

1

10

역사교육과

3

 

0

6

 

1

간호대학(B형)

0

 

2

1

 

3

컴퓨터학과(B형)

2

 

1

0

 

1

국제학부

0

 

0

1

 

3

미디어학부

1

 

2

3

1

4

보건정책관리학부

3

 

6

6

1

4

자유전공학부(A형)

1

 

2

1

1

3

심리학부

0

1

1

3

 

4

 합계

70

6

86

138

6

105

– 쎈진학에서 고려대 인문계열에 관련된 자료는 총 411건임. 이 중에서 미적분/기하를 선택한 경우는 203명으로 49.39%에 해당하고, 이 중에서 ‘미적분/기하 + 과학탐구(2)’를 선택한 학생은 191명으로 인문계열 전체의 46.47%임. 2022학년도 정시 일반전형 인문계열 지원자가 2,911명이기 때문에 교차지원의 경우는 55~60% 사이가 될 것으로 추정됨

– 쎈진학을 기준으로 하면 서어서문학과, 언어학과, 통계학과, 지리교육과, 간호대학, 국제학부, 심리학부의 경우에는 확률과통계를 선택한 학생의 합격자는 0명임. 국어국문, 역사교육과, 국제학부의 경우는 ‘미적분/기하 + 과학탐구(2)’를 선택한 합격자가 0명임.

– ‘미적분/기하 + 과학탐구’를 선택한 학생들이 교차지원의 경우에, 경상계열 혹은 사회과학계열을 선호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어문계열이나 인문계열로도 많이 지원했음. ‘미적분/기하 + 과학탐구’를 선택하여 ‘가군 고려대 독어독문학과 / 나군 성균관대 사회과학계열 / 다군 중앙대 경영학부(경영학전공)‘를 지원하여 고려대만 합격한 사례도 있음

– ‘미적분/기하 + 과학탐구’를 선택하고, ‘가군 고려대 경영대학 / 나군 서강대 경영학전공 / 다군 중앙대 경영학부(경영학전공)’ 이나 ‘가군 고려대 사학과 / 나군 서강대 인문계 / 다군 중앙대 경영학부(경영학전공)’를 지원하여 3개 대학을 모두 인문계열로만 합격을 한 학생들도 있음. 이런 현상은 2023학년도 정시에서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됨

  • 3년간 경쟁률 변화

[인문]

– 2022학년도 인문계열 모집인원은 이월 인원을 합하면 806명으로, 2021학년도 379명, 2020학년도 389명보다 2배 이상 증가하였음. 학과마다 모집인원의 증가가 다르긴 하지만, 몇몇 학과를 제외하고는 경쟁률의 변화가 크게 나타나지 않은 것은 통합형 수능으로 인하여 국어와 수학에서 높은 성적을 받은 자연계열의 학생들이 교차지원을 많이 한 결과라고 보여짐.

– 2021학년도와 2022학년도 경쟁률에서 가장 큰 상승을 보인 학과는 국제학부 6.83(7.50 → 14.33) > 지리교육과 6.53(2.75 → 9.28) > 노어노문학과 3.15(3.18 → 6.33) > 중어중문학과 2.78(5.50 → 8.28) 순임. 경쟁률은 상승했지만, 합격자 성적 70% 컷의 국수탐 백분위를 비교하면 지리교육과(95.3 → 93.52), 노어노문학과(94.33 → 92.17), 중어중문학과(95.6 → 92.87)으로 오히려 하락하였음. 이는 10여명의 모집인원 증가의 영향이 크고, 통합형 수능으로 인하여 확률과 통계를 선택한 인문계열 학생들의 수학 성적 하락이 원인이라 볼 수 있음. 경쟁률이 상승한다고 무조건 합격선이 상승하는 것이 아님을 보여주고 있음.

 

[자연]

– 2022학년도 자연계열의 모집인원은 이월 인원을 합하면 808명으로, 2021학년도 482명, 2020학년도 418명보다 1.6배 이상 증가하였음. 모집인원의 증가로 인하여 2021학년도에 비해 2022학년도의 경쟁률은 감소했음.

– 2021학년도와 2022학년도 경쟁률을 비교하면 화학과 3.16(4.00 → 7.16), 반도체공학과 1.86(3.94 → 5.80), 환경생태공학부 1.64(3.21 → 4.86)로 3개 학과만이 경쟁률이 상승함. 합격자 성적 70% 컷의 국수탐 백분위를 비교하면 화학과(93.23 → 93.2), 반도체공학과(95.63 → 96.47), 환경생태공학부(91.93 → 92.83)로, 경쟁률이 상승하면서 반도체공학과와 환경생태공학부의 경우는 성적도 상승함.

– 식품공학부 –5.28(9.22 → 3.94) < 융합에너지공학과 –3.43(6.60 → 3.17) < 수학교육과 –2.69(6.29 → 3.60) < 바이오시스템의과학부 –1.46(4.50 → 3.04) < 산업경영공학부 –1.32(4.00 → 2.68) < 신소재공학부 –1.10(3.77 → 2.67)는 경쟁률이 많이 하락한 학과임. 경쟁률 하락이 큰 학과에서 합격자 성적 70% 컷의 국수탐 백분위 성적을 비교하면, 식품공학부(94.23 → 93.07)의 경우에만 성적 하락이 되었고, 융합에너지공학과(93.13 → 94.93), 수학교육과(93.87 → 94.7), 바이오시스템의과학부(92.0 → 94.03), 산업경영공학부(92.55 → 94.22)의 경우에는 합격자 성적은 오히려 상승함.

 

  • 시간대별 지원 비율에 따른 경쟁률 비교

[인문]

구분

모집단위

2022

모집

인원

마지막 날 오후

지원 비율

최종 경쟁률

2022 누적 경쟁률

2022

2021

2020

2022

2021

2020

D-2

D-1

D – day

오전

오후

최종

마지막 날

오후

지원 비율

상위

모집단위

지리교육과

18

92.81

50.00

58.97

9.28

2.75

3.55

0.43

1.00

1.71

2.29

9.28

중어중문학과

25

90.34

89.39

73.91

8.28

5.50

5.75

0.14

1.00

2.86

3.29

8.28

불어불문학과

18

88.41

86.21

60.71

3.83

4.14

2.55

0.33

1.00

1.33

3.33

3.83

한문학과

12

87.93

68.18

82.61

4.83

4.40

7.67

0.75

1.00

1.75

3.25

4.83

독어독문학과

16

84.72

75.00

56.25

4.50

4.00

5.33

0.60

1.00

2.20

3.20

4.50

마지막 날

오후

지원 비율

하위

모집단위

철학과

16

27.91

22.73

48.21

2.69

2.75

3.73

0.59

1.00

1.82

2.06

2.69

국어교육과

18

37.04

45.45

68.00

3.00

2.75

3.57

0.36

1.00

1.55

1.73

3.00

국제학부

3

39.53

60.00

 

14.33

7.50

0.00

0.31

1.00

2.00

2.31

14.33

경영대학

105

45.24

47.17

38.50

4.00

3.38

4.53

0.54

1.00

1.64

1.96

4.00

한국사학과

12

48.39

27.27

55.56

2.58

2.20

3.00

0.40

1.00

3.20

3.60

2.58

 

– 2021학년도와 2022학년도 성적 비교(최종 등록자 기준 백분위 및 환산점, 입결 순위는 70%컷 기준 계열별 순위)

구분

모집단위

2022

2021

국어

수학

탐구

영어

평균

70%컷

입결순위

국어

수학

탐구

평균

70%컷

입결순위

마지막 날

오후

지원 비율

상위

모집단위

지리교육과

95.00

91.10

92.55

2

93.42

658.56

30

97.00

96.00

92.90

95.77

669.61

20

중어중문학과

91.20

92.00

89.50

2

92.87

658.78

28

97.00

96.00

93.80

96.50

669.52

21

불어불문학과

97.10

88.10

90.15

2

93.02

660.66

23

97.80

95.20

91.40

94.43

668.94

23

한문학과

94.60

92.00

88.65

2

92.27

657.28

31

97.00

96.60

90.10

95.10

668.77

24

독어독문학과

95.50

91.50

91.75

2

92.83

658.61

29

98.60

95.20

91.40

95.60

670.43

19

마지막 날

오후

지원 비율

하위

모집단위

철학과

97.50

91.00

93.00

2

93.92

663.29

17

97.20

92.40

93.80

94.70

672.46

9

국어교육과

98.00

94.10

87.25

1.1

93.25

666.18

13

99.00

96.00

95.20

96.22

672.77

8

국제학부

95.30

91.80

85.95

2

92.87

656.28

32

 

 

 

 

 

 

경영대학

97.00

95.00

89.60

2

94.33

673.18

4

98.00

99.00

95.00

97.33

678.58

1

한국사학과

92.00

95.00

88.95

2

92.43

660.52

24

98.20

96.00

94.90

96.57

670.90

16

[자연]

구분

모집단위

2022

모집

인원

마지막 날 오후

지원 비율

최종 경쟁률

2022 누적 경쟁률

2022

2021

2020

2022

2021

2020

D-2

D-1

D – day

오전

오후

최종

마지막 날

오후

지원 비율

상위

모집단위

환경생태공학부

28

88.97

64.44

81.48

4.86

3.21

4.91

0.50

1.00

1.50

3.10

4.86

화학과

19

86.76

67.31

41.03

7.16

4.00

3.55

0.73

1.00

1.64

1.82

7.16

지구환경과학과

13

78.79

44.83

59.26

5.08

4.14

5.40

0.38

1.00

1.75

2.63

5.08

식품공학과

17

76.12

89.16

71.74

3.94

9.22

4.60

0.60

1.00

3.20

4.40

3.94

바이오시스템의과학부

24

72.60

75.93

79.00

3.04

4.50

5.88

0.25

1.00

1.67

2.83

3.04

마지막 날

오후

지원 비율

하위

모집단위

건축학과

16

25.00

63.64

74.42

2.75

3.00

5.38

0.44

1.00

1.83

1.89

2.75

수학교육과

15

37.04

50.00

28.00

3.60

6.29

4.17

0.48

1.00

1.62

1.71

3.60

수학과

22

38.16

52.38

45.76

3.45

3.94

5.36

0.54

1.00

1.96

2.21

3.45

컴퓨터학과(A형)

45

42.78

40.74

33.93

4.00

4.15

5.09

0.63

1.00

1.61

1.83

4.00

사이버국방학과

12

44.83

39.29

35.00

2.42

2.33

1.54

0.67

1.00

1.78

1.89

2.42

– 2021학년도와 2022학년도 성적 비교(최종 등록자 기준 백분위 및 환산점, 입결 순위는 70%컷 기준 계열별 순위)

구분

모집단위

2022

2021

국어

수학

탐구

영어

평균

70%컷

입결순위

국어

수학

탐구

평균

70%컷

입결순위

마지막 날

오후

지원 비율

상위

모집단위

환경생태공학부

93.00

95.10

87.60

2

92.83

668.71

26

97.20

88.00

90.60

92.83

655.55

21

화학과

95.00

96.00

85.50

1

93.20

672.58

20

98.00

91.80

89.90

94.03

657.29

14

지구환경과학과

91.90

97.80

88.95

2

93.42

668.26

25

95.80

93.60

89.90

93.13

654.32

25

식품공학과

92.00

96.00

87.90

2

93.07

670.84

23

97.00

93.00

92.70

93.87

656.33

18

바이오시스템

의과학부

93.20

96.00

91.00

2

94.03

674.35

16

96.00

89.50

90.50

92.93

652.51

27

마지막 날

오후

지원 비율

하위

모집단위

건축학과

95.20

96.40

85.80

1.2

93.03

672.25

21

96.00

90.00

90.00

93.17

655.02

23

수학교육과

96.00

98.00

89.60

2

94.70

675.93

13

93.80

95.40

92.40

94.67

658.19

12

수학과

94.20

98.00

86.40

2

93.83

676.00

12

95.00

96.00

88.80

93.58

657.97

13

컴퓨터학과(A형)

95.90

97.00

87.00

1

93.17

674.22

17

98.90

95.90

90.50

94.32

666.17

4

사이버국방학과

96.30

98.30

91.50

1

95.83

551.10

 

90.20

96.00

89.00

90.62

516.22

 

 

지원 참고자료

전공제도

  • 캠퍼스 내 소속변경(전과) 제도

– 캠퍼스 내 소속변경(전과) 제도는 제1전공을 변경할 기회를 부여하는 제도

– 2학년 이상의 학생이 지원 학과(부)에서 정한 자격 요건에 해당될 경우에는 캠퍼스 내의 전과 신청 가능 학과(부)로 전과를 지원 가능

– 2022학년도 캠퍼스 내 전과 전형 요강

전과 전형

대학(학부)

전출 허용

전입 허용

소속 대학(학부) 내 학과(부)별 참고 사항

전과

허용

여부

경영대학

 

문과대학

 

생명과학대학

 

정경대학

 

이과대학

 

공과대학

•건축학과는 5년 과정임

•반도체공학과(계약학과)는 전과 불허

•융합에너지공학과(2021학년도 신설)는 2023학년도부터 전과 허용

의과대학

×

•의과대학으로 전입 불허

사범대학

•사범대학 각 학과 전입은 결손 인원 내에서 사범대학 소속 학생만 허용

간호대학

•간호대학 전입은 결손 인원 내에서 허용

정보대학

•데이터과학과(2021학년도 신설)는 2023학년도부터 전과 허용

디자인조형학부

•디자인조형학부는 전입 면접 시, 포트폴리오 지참(자유 형식)

국제학부

 

미디어학부

 

보건과학대학

 

자유전공학부

×

×

•자유전공학부에서 제1전공 배정받은 학생도 전과 불허

스마트보안학부

×

×

•사이버국방학과(계약학과)는 전과 불허

•스마트보안학부(2021학년도 신설)는 2023학년도부터 전과 허용

심리학부

 

자격 요건

•공통 자격 요건 및 전출학과(부)/전입학과(부)의 별도 요건을 충족한 자
(세부 내용은 모집요강 참조)

전형

방법

전형요소

•학업성적, 전과사유서 및 학업계획서, 면접, 시험 – 학과(부)별로 전형요소 상이

•디자인조형학부: 전입 면접 시 포트폴리오 지참(자유양식, 분량 제한 없음)

지원방식

•온라인 접수: 고려대학교 포털(KUPID) > 학적/졸업 > 학적사항 > 캠퍼스내 소속변경(전과)신청

•전과사유서 및 학업계획서 입력

•평가를 위한 대내용 성적표는 지원자가 별도로 제출하지 않고 대학에서 제공함

 

  • 제2전공(이중전공, 융합전공, 학생설계전공), 심화전공

– 제2전공 의무화: 제2전공은 제1전공 이외의 전공과정으로서 2004학년도 입학생부터는 졸업 시까지 제2전공 또는 심화전공을 의무적으로 이수해야 함

– 제2전공의 이수: 소속 학부‧학과(제1전공)의 기본전공과정을 이수하고, 타 학과의 기본전공을 이수하는 이중전공, 2개 이상의 학과가 융합하여 구성된 교육과정을 이수하는 융합전공, 학생이 직접 설계하여 구성된 교육과정을 이수하는 학생설계전공, 이중전공이나 융합전공 또는 학생설계전공을 선택하지 않고 제1전공을 더욱 심층적으로 이수하는 제1전공의 심화전공 과정 중 택일하여 반드시 이수해야함

※ 제2전공은 수업연한인 4년(8학기) 내에 2개의 전공을 이수하는 과정으로서 제1전공 이수 후에 1학기 이상을 추가 이수해야하는 복수전공과 구별됨

 

  • 복수전공

– 복수전공: 제1전공(8학기)을 이수한 후 졸업을 유보하고, 또 하나의 전공을 연속해서 이수하여 2개의 학위를 받을 수 있는 제도로 4년(8학기) 동안 제1전공과 같이 이수하는 제2전공과 달리 제1전공(8학기) 이수 후 1학기 이상을 추가 이수해야함. (복수전공은 제2전공에 해당되지 않음)

– 이수학기: 복수전공은 소정의 학점을 별도 이수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제1전공 이수 후에 기간이 추가로 소요됨
다만, 제1전공 재학기간 동안 복수전공과 동일한 학과로 부전공 또는 일반선택으로 21학점을 이수할 경우, 복수전공 진입 후 최대 21학점까지 인정받음

– 이수시기: 제1전공 재학기간 중에 지원, 합격 후 제1전공의 졸업요건을 모두 충족한 그 다음 학기부터 이수함. 복수전공 진입 첫 학기에는 휴학을 할 수 없음

※ 서울캠퍼스와 세종캠퍼스 간 복수전공은 세종(서울)캠퍼스에 동일(유사) 학과(부)가 없는 학과(부)에 한하여 서울(세종)캠퍼스 학과(부)를 이수할 수 있음

 

계약학과

  • 사이버국방학과는 국방부 후원 하에 설립된 정원외 계약학과로 졸업 후 사이버작전사령부등 사이버 국방 유관기관에서 7년간 장교로 의무복무 해야함(군 가산복무 지원금으로 등록금 전액 지원)
  • 반도체공학과는 2021년도 신설학과로 졸업 후 SK하이닉스에 취업이 보장되는 채용 조건형 정원외 계약학과임. 학비 전액과 보조금을 SK하이닉스에서 장학금으로 지원받음. 1,2학년에서는 기본 교양과 기초 전공 과정을 이수하고, 3,4학년에서는 심화 전공과 융합 전공을 거쳐 학부 인턴을 통해 실제 연구에 참여할 기회가 제공됨. 졸업 후에도 학부 성적과 인턴 활동 내용을 토대로 SK하이닉스에 채용 또는 대학원 과정의 반도체시스템공학과로 연계 진학하여 인공지능, 모바일, 자율주행, 빅데이터 등 다양한 미래 핵심 기술 분야를 배울 수 있음. 대학 졸업 후석사/석박통합과정 연계 진학 시에도 학비와 학비 보조금을 계속지원받음
  • 차세대통신학과는 2022년도 신설학과로 삼성전자로부터 등록금 전액과 장학금을 지원받아 수학하고, 학위 취득 후에는 소정의 채용 절차를 통해 삼성전자 입사를 보장받는 정원외 계약학과임. 교육과정은 전문형 교과 프로그램과 심화형 비교과 프로그램이 있음 전문형 프로그램은 1학년 핵심 교양으로 리더십/창의성 및 팀워크 배양, 2학년 핵심 전공으로 전문 지식 습득, 3학년 전문 전공으로 S/W+H/W 융합 교육, 4학년 심화 전공으로 실무/실습형 교육 및 연구 연계 과정으로 있음. 심화형 비교과 프로그램으로는 해외 학술 연수 프로그램, 삼성전자 채용 전문 프로그램, 현장실습 프로그램, 삼성전자 연구개발직 입사를 위한 프로그램이 있음. 졸업요건에 대해서는 아직 정해진 것은 없음
  • 스마트모빌리티학과는 2022년도 신설학과로 기업가 정신과 창의적 융합 역량을 갖춘 세계적 수준의 스마트모빌리티 공학 리더 양성을 위해 고려대와 현대자동차가 함께 만든 학·석사 통합과정의 채용조건형 계약학과임. 정원외로 선발함

 

출처> 쎈진학 2023 정시모집의 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