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대 정시 요강과 입결

주요 변경 내용

전년도와 달라진 점

2023학년도

2022학년도

모집인원

• 수능 일반전형 기준 1,727명 모집

-가군(793명), 나군(569명), 다군(365명)

• 수능 일반전형 기준 1,179명 모집

-가군(403명), 나군(349명), 다군(427명)

기타

• 학과/전공별 모집

• 전공개방모집 및 학과/전공별 모집

• 모집군 변경

모집군 변경

모집단위

나→가

영어영문학과 유럽문화학부(독일어문학, 프랑스어문학, 러시아어문학), 아시아문화학부(일본어문학, 중국어문학), 철학과, 역사학과, 문헌정보학과, 도시계획∙부동산학과, 산업보안학과(인문), 화학과, 수학과

다→가

간호학과(인문), 간호학과(자연)

가→나

산업보안학과(자연)

다→나

융합공학부

 

구분

일정

비고

가군

나군

다군

원서 접수

2022. 12. 29.(목) 10:00 ∼ 2023. 1. 2.(월) 18:00

 

서류 제출

2022. 12. 29.(목) ~ 2023. 1. 4.(수)

우편접수

(우편 발송 접수일 기준)

최초 합격자 발표

전체(체육교육과 제외)

2023. 1. 13.(금) 14:00

 

체육교육과

2023. 2. 3.(금) 14:00

최초 합격자 등록

2023. 2. 7.(화) ~ 9.(목)

 

충원 합격자 발표 및 등록

2023. 2. 10.(금) ~ 16.(목) 18:00

인터넷 발표 또는 개별 통지

최종 충원 합격자 등록

2023. 2. 11.(토) ~ 17.(금)

 

※ 충원합격자 차수별 세부 발표 일정은 추후 공고

가군

대학

모집단위

계열

2023

2022

2021

2020

모집

인원

최초

인원

이월

인원

최종

인원

최초

인원

이월

인원

최종

인원

최초

인원

이월

인원

최종

인원

인문

영어영문학과

인문

44

36

0

36

36

3

39

36

7

43

유럽

문화학부

독일어문학

인문

10

프랑스어문학

인문

12

러시아어문학

인문

10

아시아

문화학부

일본어문학

인문

11

중국어문학

인문

15

철학과

인문

13

역사학과

인문

13

사회과학

문헌정보학과

인문

13

26

0

26

41

2

43

41

10

51

도시계획·부동산학과

인문

18

공공인재학부

인문

48

42

0

42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인문

27

24

0

24

사범

유아교육과

인문

11

 

 

 

11

0

11

10

 

 

경영경제

산업보안학과(인문)

인문

5

53

0

53

143

7

150

137

6

143

경영학부(글로벌금융)

인문

24

21

0

21

간호

간호학과(인문)

인문

55

59

0

59

70

0

70

40

1

41

자연과학

화학과

자연

15

33

1

34

30

1

31

30

5

35

수학과

자연

18

공과

화학신소재공학부

자연

33

31

0

31

88

4

92

88

12

100

기계공학부

자연

65

59

0

59

소프트

AI학과

자연

18

13

0

13

10

1

11

 

 

 

약학

약학부

자연

65

70

1

71

 

 

 

 

 

 

간호

간호학과(자연)

자연

60

69

0

69

80

0

80

50

0

50

생명공학

생명자원공학부

*동물생명공학

자연

25

69

6

75

68

6

74

70

4

74

*식물생명공학

자연

22

식품

공학부

*식품공학

자연

37

*식품영양

자연

15

*시스템생명공학과

자연

22

공과

*첨단소재공학과

자연

15

11

0

11

12

0

12

예술

디자인
학부

*공예전공

예체능

6

6

0

6

6

0

6

6

0

6

*산업디자인전공

예체능

8

8

0

8

8

0

8

8

0

8

*시각디자인전공

예체능

7

7

0

7

7

0

7

7

0

7

*실내환경디자인전공

예체능

10

10

0

10

10

0

10

6

0

6

*패션전공

예체능

23

22

0

22

22

0

22

18

0

18

 

※ *표시 모집단위는 안성캠퍼스임

나군

대학

모집단위

계열

2023

2022

2021

2020

모집

인원

최초

인원

이월

인원

최종

인원

최초

인원

이월

인원

최종

인원

최초

인원

이월

인원

최종

인원

인문

국어국문학과

인문

17

36

0

36

36

3

39

36

7

43

사회과학

정치국제학과

인문

22

26

0

26

41

2

43

41

10

51

심리학과

인문

20

사회복지학부

인문

20

사회학과

인문

19

사범

교육학과

인문

11

 

 

 

11

1

12

12

 

 

영어교육과

인문

22

19

0

19

19

1

20

17

1

18

경영경제

경제학부

인문

54

53

0

53

143

7

150

137

6

143

응용통계학과

인문

15

광고홍보학과

인문

20

국제물류학과

인문

19

자연과학

물리학과

자연

13

33

1

34

30

1

31

30

5

35

생명과학과

자연

19

공과

사회기반
시스템공학부

건설환경플랜트공학

자연

23

32

0

32

88

4

92

88

12

100

도시시스템공학

자연

11

건축학부

자연

37

에너지시스템공학부

자연

35

창의ICT공과대학(융합공학부)

자연

38

62

3

65

61

4

65

50

4

54

경영경제

산업보안학과(자연)

자연

8

10

0

10

10

0

10

10

0

10

의과

의학부

자연

50

50

0

50

40

0

40

39

0

39

예술공학

*예술공학부

자연

51

52

3

55

70

2

72

48

1

49

사범

체육교육과

예체능

15

17

0

17

15

0

15

15

1

16

예술

공연영상

창작학부

영화전공

예체능

15

15

0

15

15

0

15

14

2

16

*사진전공

예체능

15

16

0

16

15

0

15

15

0

15

 

※ *표시 모집단위는 안성캠퍼스임

 

다군

대학

모집 단위

계열

2023

2022

2021

2020

모집

인원

최초

인원

이월

인원

최종

인원

최초

인원

이월

인원

최종

인원

최초

인원

이월

인원

최종

인원

경영경제

경영학부(경영학전공)

경영경제

197

173

0

173

143

7

150

136

6

143

소프트웨어대학(소프트웨어학부)

자연

78

64

0

64

55

2

57

45

3

48

창의ICT공과대학(전기전자공학부)

자연

90

62

3

65

61

4

65

58

0

58

 

• 모집인원은 수능(일반전형)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음

• 2022학년도에는 전공개방모집과 학과/전공별 모집을 병행하여 모집하였으나, 2023학년도에는 학과/전공별 모집으로 전환함

• 2020~2022학년도 모집인원은 해당연도 모집단위 기준으로 작성되었음

• 2023학년도에 새롭게 학과/전공별 분리 모집하는 모집단위의 이전연도 모집인원 자료는 2022학년도 전공개방모집의 모집단위 기준으로 작성됨

• 2023학년도에 학과/전공별 모집으로 전환하면서 기존 전공개방모집에서의 모집군과 달리 다른 모집군으로 이동한 모집단위가 있으며, 같은 단과대학 내의 학과/전공별 모집군이 분리된 경우도 있음

(학과/전공별 모집군이 분리된 모집단위는 2020~2022학년도 전공개방모집의 모집단위 기준으로 작성함)

※ 2022학년도 전공개방모집: 인문대학, 사회과학대학, 경영경제대학, 자연과학대학, 공과대학, 창의ICT공과대학, 생명공학대학

※ 2022학년도 사회과학대학[공공인재학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경영경제대학[경영학부(경영학, 글로벌금융), 산업보안학과(자연)] 및 공과대학

[화학신소재공학부, 기계공학부, 첨단소재공학과]의 경우, 학과(부)/전공별 모집을 실시하였음

 

 

모집군

모집단위

선발방법

전형 요소별 반영 비율(%)

전형총점

수능

학생부

기타

교과

비교과

가, 나, 다

전 모집단위(체육교육과 제외)

일괄합산

100

 

 

 

1,010점

체육교육과

일괄합산

80

 

 

서류 20

1,010점

반영영역 및 비율

모집군

전형

유형

모집계열

(단위)

활용

지표

대학수학능력시험 반영비율(%)

영어

반영
방법

국어

수학

영어

탐구

한국사

제2외국어/한문

화법과

작문

언어와

매체

확률과통계

미적분/기하

사회

과학

과목수

가, 나, 다

수능

위주

인문

표준점수

+

변환표준점수

40

40



20

2

가산점

미반영

가산점

공공인재학부

35

40

25

경영경제대학

35

45

20

자연

25

 

40

 

35

체육교육과, 영화

40

40

20

디자인학부, 사진

40

20

40

※ 실기가 반영되는 전형은 「정시전형 진학지도 길잡이(총론)」 참고

※ 표준점수 반영: 국어, 수학 / 변환표준점수 반영: 탐구

 

영어 반영 방법 (가산점)

등급

1

2

3

4

5

6

7

8

9

가산점

100

98

95

92

86

75

64

58

50

 

한국사 반영 방법 (가산점)

등급

1

2

3

4

5

6

7

8

9

인문/자연

10

10

10

10

9.6

9.2

8.8

8.4

8

예체능

10

10

10

10

10

9.6

9.2

8.8

8.4

 

 

 

학생부 활용 서류평가 안내

모집군

모집단위

전형요소별 반영비율(%)

평가요소별 반영비율(%)

수능

서류

학업역량

전공적합성

발전가능성/인성

체육교육과

80

20

40

50

10

※ 학생부를 근거로 학업 및 교내 다양한 활동, 체육과목의 성취도, 체육활동의 다양성 및 우수성 등을 통한 성장 가능성을 종합적으로 평가

 

 

※ 합격자 성적: 최종합격자 기준 수능 백분위 평균 70%cut

※ 충원율: 모집인원을 기준으로 추가합격 된 인원만 표시한 비율(모집인원 10명에 예비 9번까지 합격하였다면 충원율은 90%)

모집단위

2022

2021

모집인원

경쟁률

충원율

합격자 성적

(70% cut)

모집인원

경쟁률

충원율

합격자 성적

(70% cut)

국수탐

백분위

대학별

환산점

국수탐

백분위

대학별

환산점

인문대학

36

5.3

58

89.4

752.2x

42

4.5

108

92.7

757.4x

사회과학대학

26

5.9

104

88.4

750.7x

45

4.3

177

92.3

752.2x

공공인재학부

42

5.2

36

89.5

749.3x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24

6.6

46

87.3

750.5x

경영경제대학

53

5.7

62

88.4

755.4x

157

21.3

1,077

93.7

759.9x

경영학부(경영학)

173

27.4

969

88.8

756.5x

경영학부(글로벌금융)

21

6.1

48

87.5

757.6x

교육학과

- 

- 

13

4.3

158

91.6

756.9x

유아교육과

- 

11

4.6

109

91.0

753.7x

영어교육과

19

5.3

47

89.5

750.8x

21

3.7

130

92.3

755.3x

산업보안학과(자연)

10

5.0

30

90.6

761.6x

10

4.5

80

91.7

744.3x

간호학과(인문)

59

12.9

314

88.2

750.1x

70

10.2

364

91.7

752.7x

간호학과(자연)

69

10.9

236

88.2

748.7x

80

6.7

328

89.5

735.6x

의학부

50

4.2

82

98.3

811.8x

40

3.9

45

98.5

784.5x

약학부

72

4.7

97

95.8

791.4x

자연과학대학

35

5.3

79

89.9

758.4x

32

6.1

145

91.7

743.7x

공과대학

32

6.1

281

85.0

740.1x

96

4.6

172

91.4

744.2x

화학신소재공학부

31

5.5

129

90.2

759.7x

기계공학부

59

5.5

93

90.5

760.1x

*첨단소재공학과

11

6.5

64

81.8

719.7x

12

3.8

133

73.6

682.9x

창의ICT공과대학

65

38.0

1737

91.2

763.9x

69

25.2

1,305

92.3

746.8x

AI학과

13

6.5

231

91.0

761.0x

12

7.9

146

92.3

746.0x

소프트웨어학부

64

29.3

1313

91.2

764.1x

59

19.6

832

91.9

745.6x

*생명공학대학

81

4.8

123

77.0

696.2x

80

3.4

143

78.5

699.7x

*예술공학부

58

3.7

33

75.7

695.0x

74

2.7

56

75.4

686.8x

체육교육과

17

3.7

118

87.7

590.9x

15

4.9

120

91.7

599.0x

공연영상창작학부(영화)

15

5.3

53

88.0

746.0x

15

3.9

27

92.4

754.9x

*공연영상창작학부(사진)

16

2.8

19

79.3

707.1x

15

4.4

33

83.8

723.4x

*공예전공

6

3.8

33

74.0

694.2x

6

4.8

67

84.1

716.4x

*산업디자인전공

8

4.5

25

78.9

705.1x

8

4.0

25

81.8

719.5x

*시각디자인전공

7

6.4

71

74.4

698.0x

7

5.0

57

80.3

717.5x

*실내환경디자인전공

10

4.0

30

79.6

705.0x

10

3.5

20

85.0

726.2x

*패션전공

22

3.8

41

76.1

699.1x

22

3.4

23

81.6

712.5x

 

※ 해당연도 모집단위 기준으로 입시결과를 제시함. 2021학년도와 2022학년도 모두 기본적으로 전공개방모집과 학과/전공별 모집을 병행하였으나, 모집단위에 조금씩 차이가 있음. 2022학년도의 경우 전공개방모집을 실시하면서 같은 단과대학 내에서도 전공개방모집을 하지 않고 별도로 학과/전공별 모집을 실시한 모집단위가 있음. 2022학년도 사회과학대학[공공인재학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경영경제대학[경영학부(경영학, 글로벌금융), 산업보안학과(자연)] 및 공과대학[화학신소재공학부, 기계공학부, 첨단소재공학과]의 경우, 학과/전공별 모집을 실시하였음. 따라서 위의 내용 중에서 2022학년도 입시결과는 별도로 존재하지만 2021학년도 내용이 없는 경우, 2021학년도 단과대학의 입시결과를 참고하기 바람. 유아교육과와 교육학과는 2022학년도에는 정시전형에서 모집하지 않았음.

• 모집단위의 변화가 매우 많음. 기본적으로 2022학년도에 전공개방모집에서 2023학년도에는 대부분 학과/전공별 모집으로 전환하였음.

학과/전공별 모집으로 전환하면서 일부 학과/전공별 모집단위의 군별 모집에 변화가 있음. 전년도와 달라진 모집군을 정확하게 확인할 필요 있음.

• 신설 모집단위: (가군)유아교육과, (나군)교육학과

• 모집군 이동 모집단위

– [나군]→[가군]: 영어영문학과 유럽문화학부(독일어문학, 프랑스어문학, 러시아어문학), 아시아문화학부(일본어문학, 중국어문학), 철학과,

역사학과, 문헌정보학과, 도시계획∙부동산학과, 산업보안학과(인문), 화학과, 수학과

– [다군]→[가군]: 간호학과(인문), 간호학과(자연)

– [가군]→[나군]: 산업보안학과(자연)

– [다군]→[나군]: 융합공학부

 

지원전략

전년도와 달라진 점을 고려한 지원전략

  • 모집인원의 변화가 큼. 수능 일반전형 기준으로 2022학년도 1,179명 모집에서 2023학년도 1,727명으로 548명이 증가함. 군별로 살펴보면 가군(793명: +390명), 나군(369명: +220명), 다군(365명: -62명)으로 가, 나군에서의 모집 규모가 크게 증가하고 다군에서는 소폭 감소함. 다군 모집인원의 감소는 간호학과의 모집군 변동으로 인한 것임. 모집인원의 변화는 입시 결과의 변화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이를 고려한 지원전략이 필요함.
  • 모집인원의 변화만큼 모집군의 변화도 큼. 기존에 전공개방으로 모집했던 모집단위들이 학과/전공별로 분리 모집하게 되면서 모집군을 이동한 경우가 생겨남. 중상위권 대학의 경우 군별 지원전략을 세울 때 모집군에 따라 전략이 조금씩 달라짐을 고려해야 하므로 모집군의 이동은 반드시 확인하는 것이 필요함. 가군에서 지원하는 경우 나/다군에서 어느 대학과 연결하여 지원하는지, 반대로 나군 지원 시, 가/다군에서는 어느 대학을 어떤 전략으로 지원하게 되는지를 고려하여 지원전략을 세우기 바람. 지원자의 성향에 따라 조금씩 다르겠지만, 군별 지원 전략 수립 시 모든 군에서 안정적인 지원을 하기보다는 안정, 적정, 소신, 상향 지원을 적절하게 배분하기 때문에 군별 조합이 중요함. 가/나군 끼리의 모집군 이동은 모집군의 특성상 상대적으로 변화가 크다고 보기는 어렵고 다른 대학과 함께 군별 지원전략을 세울 때 고려할 부분이 달라지는 정도이지만, 다군에서 가/나군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경쟁률과 입시 결과에 큰 변화가 있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를 고려한 지원전략이 필요함. 가/나군에서의 이동도 다른 군에서의 전략 조합을 어떻게 가져가느냐에 따라 입시결과의 변화가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기존의 모집군과 이동한 모집군에서 상대 군과의 군별 전략 조합을 비교해볼 필요가 있음. 2022학년도에 다군에서 모집하였던 창의ICT공과대학(융합공학부)는 나군으로, 간호학과(인문), 간호학과(자연)은 가군으로 모집군을 이동하였음.
  • 유아교육과(가군-11명), 교육학과(나군-11명)이 신설되었음.
  • 모집단위에 따라 전공개방모집과 학과/전공별 모집을 함께했던 2022학년도와 달리 2023학년도에는 학과/전공별 모집으로 선발함. 전공개방모집에서 학과/전공별 모집으로 전환할 경우, 일반적으로는 모집단위별 모집인원이 감소하기 마련이지만, 2023학년도 중앙대의 경우 정시 모집인원의 증가가 큰 편이기 때문에 학과/전공별로 모집함에도 불구하고 전년도 전공개방모집에 의한 단과대학별 모집에 비해 모집단위별 모집인원의 감소를 체감하기 어려움. 2022학년도에 학과/전공별로 모집했던 모집단위는 2023학년도에 모집인원을 소폭이나마 증가하였음.

 

수학(미적분/기하) 지원자들의 인문계 모집단위 교차지원을 고려한 지원전략

  • 전년도 정시지원의 가장 큰 이슈는 자연계 학생(수학 미적/기하 선택자)들의 인문계 모집단위 교차지원이었음. 대학마다 교차지원 비율을 공개한 대학도 있고 공개하지 않은 대학도 있어 일반화하기는 어려운 부분이 있지만, 중상위권 이상의 대학들에서는 상경계열 모집단위를 중심으로 예상보다 많은 교차지원이 이루어졌음. 이러한 현상은 2023대입에서도 이어질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를 고려한 지원전략이 필요함. 공개하지 않은 대학은 비슷한 수준의 공개 대학의 교차지원 비율을 참고해서라도 교차지원 가능성을 염두에 둔 지원전략이 필요함. 교차지원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의 하나는 수능 시험 후에 대학에서 발표하는 탐구영역 변환표준점수임. 대학에서 발표하는 변환표준점수에 따라 교차지원의 유·불리가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반드시 확인 후에 교차지원 가능성 여부를 타진하고 지원전략을 세워야 함. 2022대입과 2023대입에서의 교차지원 비율이 정확하게 일치하기는 어렵겠지만, 이미 2022학년도에 교차지원이 일어난 상태에서의 입시 결과가 나왔으므로 전년도 입시 결과를 확인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함. 전년도 입시 결과를 확인하고 2023대입에서의 변화가 갖는 의미까지 더하여 지원전략을 세우는 것이 바람직함.

 

계열별/군별 충원율을 고려한 지원전략

  • 정시지원은 수시와 달리 군별로 이루어진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음. 따라서 지원전략을 세울 때, 군별 조합을 어떻게 가져가느냐 하는 부분이 가장 중요한 전략이 됨. 군별 분할 모집을 하는 대학의 경우 군별 특징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함. 중앙대는 모집인원 상으로 보면 가군이 가장 많고 나군과 다군이 비슷한 수준이지만, 모집단위 수로 보자면 가군과 나군이 많고 다군이 적다는 특징이 있음. 전년도와 달리 학과/전공별 모집을 실시하게 되면서 가/나군의 모집단위 수가 모집인원과 함께 증가하였지만, 계열별로 전년도와 비슷하게 가/나군에 모집단위가 비교적 고르게 분포되어 있다고 볼 수 있음. 따라서 가/나군에 중앙대를 지원하는 지원자가 다른 군에서 지원하는 대학이 주로 어디인지를 살펴보면 가/나군에서 중앙대를 지원하는 지원자가 적정, 안정, 소신 등 어떤 전략을 취하고 있는가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군별 조합을 짤 때 도움을 받을 수 있음. 그리고 군별 충원율도 비교하여 충원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군이 있다면 해당군에서 다른 군으로 합격자가 이동했음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충원합격자의 흐름을 파악하여 지원전략을 세워볼 수도 있음. 중앙대는 의학, 약학부를 제외한 가/나군과 다군에서의 충원율을 비교해보면, 인문/자연 모두 군별 차이가 크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음. 이를 통해 인문/자연 모두 가/나군이 비교적 고르게 상위권 대학과 연결되어 있다고 생각해볼 수 있으므로 이를 활용한 지원전략을 세우는 것이 바람직함. 다군 모집은 의/치/한을 제외하면 가장 선호도가 높은 대학이기 때문에 계열과 상관없이 매우 높은 경쟁률과 충원율을 보인다는 특징이 있음. 따라서 최초 합격자의 성적은 매우 높겠지만, 많은 충원인원이 발생하고 난 후의 최종등록자 성적은 타 모집단위와 비교하여 약간 높거나 비슷한 정도라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

 

지원 경향이 비슷한 대학 수능 영역별 반영비율(%) 비교

대학

수능 영역별 반영비율(%)

인문

자연

국어

확통/미적/기하

영어

사탐/과탐

국어

미적/기하

영어

과탐

중앙대

인문

40

40

가산점

20

25

40

가산점

35

공공인재

35

40

가산점

25

경영경제

35

45

가산점

20

성균관대

35

35

가산점

30

30

35

가산점

35

한양대

인문, 사회

30

30

10

30

20

35

10

35

상경

30

40

10

20

경희대

인문

35

25

15

25

20

35

15

30

사회

25

35

15

25

서울

시립대

인문Ⅰ

35

30

15

20

자연Ⅰ

20

40

10

30

인문Ⅱ

35

40

15

10

중앙대

인문

40

40

가산점

20

25

40

가산점

35

경영경제

35

45

가산점

20

서강대

36.7

43.3

가산점

20

36.7

43.3

가산점

20

성균관대

35

35

가산점

30

30

35

가산점

35

한양대

인문, 사회

30

30

10

30

20

35

10

35

상경

30

40

10

20

이화여대

30

25

20

25

25

30

20

25

경희대

인문

35

25

15

25

20

35

15

30

사회

25

35

15

25

서울

시립대

인문Ⅰ

35

30

15

20

자연Ⅰ

20

40

10

30

인문Ⅱ

35

40

15

10

자연Ⅱ

20

35

10

35

인문Ⅲ

30

30

25

15

자연Ⅲ

20

35(확통가능)

10

35

 

  • 중상위권 대학의 수능 영역별 반영비율은 영어를 비율로 반영하는 대학과 가/감점으로 반영하는 대학을 구분하여 비교하는 것이 필요함. 영어를 가/감점으로 반영하는 대학은 당연히 3개 영역을 합하여 100%로 계산하기 때문에 영어를 비율로 반영하는 대학과 비교하여 영역별 반영비율이 크게 느껴지므로 이런 점을 고려하여 영역별 반영비율을 인지해야 함. 전반적으로 인문계열은 국어와 수학의 반영비율이 크고, 자연계열은 수학과 과탐의 반영비율이 큰 편임. 중앙대의 자연계열은 모든 모집단위에서 동일한 반영비율을 적용하지만, 인문계열에서는 인문/공공인재/경영경제로 구분하여 반영비율을 차등 적용하므로 이를 고려한 지원전략이 필요함. 합불을 결정하는 점수는 단순 점수가 아닌, 영역별 반영비율을 고려한 대학별 환산점수라는 사실을 명심하고 반드시 최종 지원 전에 대학별 환산점수를 계산하고 합불 가능성을 최종 점검하는 것이 필요함.

2023학년도 주요 대학 영어영역 반영 방법 비교

계열

영어등급

대학명

1

2

3

4

5

6

7

8

9

비고

인문,

자연

중앙대

100

98

95

92

86

75

64

58

50

가산점

서강대

100

99

98

97

96

95

94

93

92

가산점

성균관대

100

97

92

86

75

64

58

53

50

가산점

한양대

인문

100

96

90

82

72

60

46

30

12

반영비율 10%

자연

100

98

94

88

80

70

58

44

28

이화여대

100

98

94

88

84

80

76

72

68

반영비율 20%

경희대

200

196

188

160

120

80

46

22

0

반영비율 15%

서울시립대

인문Ⅰ, Ⅱ

150

148

144

140

136

132

128

124

0

반영비율 15%

인문Ⅲ

250

248

244

240

236

232

228

224

0

반영비율 25%

자연

100

98

94

90

86

82

78

74

0

반영비율 10%

  • 영어의 영향력은 반영방법보다는 실제 수능에서의 영어 시험의 난이도에 의해 결정되는 편임. 절대평가로 실시되는 영어의 경우 시험이 어려워 1, 2등급의 비율이 낮아지면 영어에서 높은 등급을 맞은 것이 큰 무기가 될 수 있지만, 반대로 시험이 쉬워져서 1, 2등급의 비율이 높아지면 큰 변별력을 갖기가 어려워지게 됨. 2022대입에서 영어 1등급은 6.25%, 2등급은 21.64%였음. 대학에서 발표한 전년도 모집단위별 최종등록자 영어 평균 등급이 1등급이었던 모집단위는 4개(의학부, 소프트웨어학부, AI학과, 화학신소재공학부)였으며, 그 외의 모집단위는 대부분 2등급에 가까웠음.

 

지원경향이 비슷한 대학의 군별 배치현황

[인문]

대학

중앙대

인문대학, 사회과학대학, 공공인재학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글로벌금융, 산업보안, 간호, 유아교육

인문대학(국문), 사회과학대학, 경영경제대학, 교육, 영어교육

경영학

성균관대

글로벌경제, 경영, 인문과학계열, 교육학, 한문교육, 영상학, 의상학

글로벌경영, 글로벌리더, 사회과학계열

 

서강대

 

인문계열

 

한양대

정책학과, 경영, 경제금융, 어문, 인문 등

파이낸스경영, 미디어, 행정, 관광 등

 

이화여대

 

인문계열

 

경희대

경영대학, 정경대학, 문과대학 등

국제학과

 

서울시립대

도시행정, 자유전공

인문계열

 

 

[자연]

대학

중앙대(서울)

화학, 수학, 기계공학, 화학신소재공학, AI학과, 약학부, 간호

물리, 생명과학, 사회기반시스템, 건축, 에너지시스템, 융합공학, 산업보안, 의학

전기전자공학, 소프트웨어대학

성균관대

약학, 반도체시스템공학, 글로벌바이오메디컬, 건설환경공학, 수학교육 등

자연과학계열, 공학계열, 소프트웨어

 

서강대

 

자연계열

 

한양대

컴퓨터소프트웨어, 융합전자공학, 수학교육, 원자력공학, 화학과 등

미래자동차공학, 에너지공학, 생명공학, 생명과학, 수학, 신소재공학 등

 

이화여대

 

약학부, 자연계열

 

경희대

이과대학, 간호학과

약학과

 

서울시립대

인공지능

자연계열

 

지원 참고자료

전과제도

  • 학과 및 계열의 특성과 교육환경 여건에 따라 전과 인원을 결정하여 공고

(단, 캠퍼스 간 전과 신청 인원은 해당 입학년도 모집단위별 입학정원의 10%까지만 허용함)

– 사범대학, 적십자간호대학으로의 전과는 학과 내 결원이 발생하는 경우에만 지원 가능함

  • 전과는 2학년 이상에 가능하며 재학 기간 중 1회만 허가함
  • 전과 불허 대상

– 동일한 학부 내 전공으로는 전과를 불허함

– 편입학자, 재입학자, 수시 실기/실적(특기형) 입학자와 특성화고재직자 전형 입학자는 전과를 불허함

– 약학대학, 의과대학으로의 전과는 불허함

※ 기타 자세한 사항은 관계 규정 및 전과(부) 모집 공고를 확인하기 바람

 

  • 전과 지원현황

모집단위

2022

2021

모집단위

2022

2021

모집

지원

모집

지원

모집

지원

모집

지원

경영학부(경영학)

20

45

20

39

동물생명공학전공

 

 

13

1

경영학부(글로벌금융)

5

6

5

4

식물생명공학전공

 

 

 

 

경제학부

12

15

12

13

시스템생명공학과

12

6

12

2

광고홍보학과

4

7

5

5

식품공학전공

 

 

10

0

국제물류학과

6

5

5

6

식품영양전공

10

0

10

0

산업보안학과

7

9

7

5

AI학과

8

10

 

 

응용통계학과

7

4

7

11

소프트웨어학부

15

31

15

27

건축공학(4년제)

4

1

8

2

예술공학부

13

4

13

2

건축학(5년제)

4

9

8

1

국어국문학과

8

4

8

2

기계공학부

14

5

14

14

일본어문학전공

6

1

6

0

건설환경플랜트공학

11

1

11

1

중국어문학전공

8

2

8

0

도시시스템공학

6

5

6

2

역사학과

7

0

7

1

에너지시스템공학부

16

2

16

5

영어영문학과

19

2

19

1

화학신소재공학부

14

9

14

17

독일어문학전공

5

0

5

0

교육학과

 

 

 

 

러시아어문학전공

5

0

 

 

영어교육과

 

 

 

 

프랑스어문학전공

 

 

 

 

유아교육과

 

 

 

 

철학과

7

3

7

1

공공인재학부

19

12

13

12

물리학과

8

0

8

4

도시계획·부동산학과

9

13

7

7

생명과학과

10

15

10

10

문헌정보학과

7

3

7

4

수학과

8

2

8

2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4

18

5

9

화학과

8

10

8

8

사회복지학부

10

1

10

2

나노바이오소재공학

8

2

9

3

사회학과

9

7

9

5

바이오메디컬공학

9

7

8

10

심리학과

5

16

5

8

전자전기공학부

20

39

20

24

정치국제학과

9

6

9

6

 

 

 

 

 

출처> 쎈진학 2023 정시모집의 이해